키신저 별세에 시진핑도 조전 발송…“中국민의 라오펑유”

키신저 별세에 시진핑도 조전 발송…“中국민의 라오펑유”

중국 관영 매체들도 1970년대 ‘핑퐁 외교’로 미ㆍ중 수교의 기틀을 닦은 키신저 전 장관의 타계 소식을 주요 기사로 다루며 애도를 표했다. 중국중앙TV(CCTV)는 키신저의 생애를 돌아보는 1분 57초짜리 영상을 보도하며 “키신저 전 장관은 전설적 외교관이자 중ㆍ미 관계의 발전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린다”고 평했다.

'흑연 대란' 당장 없겠지만…中 수출통제, 기업 5개월치 재고 확보

'흑연 대란' 당장 없겠지만…中 수출통제, 기업 5개월치 재고 확보

중국이 12월 1일부터 흑연의 수출통제를 시행함에 따라 정부·배터리 업계가 수급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업체별로 3~5개월 치 재고를 확보하면서 당장 큰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 하지만 대(對)중 의존도가 높고 향후 변수도 많은 만큼 공급망 다변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엔비디아 CEO "美 반도체, 中 공급망 독립 최소 10년 걸려"

엔비디아 CEO "美 반도체, 中 공급망 독립 최소 10년 걸려"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29일(현지시간) "미국 칩 제조업체가 중국으로부터 공급망을 독립하는 데 최소 10년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중국과 디커플링(공급망 분리)하려는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정책에 대해 "우리는 반드시 그 여정(공급망 독립)을 가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공급망의 완전한 독립은 10∼20년 동안 실현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엔비디아는 미국의 대중(對中)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 이후 성능을 기존보다 낮춘 중국 시장 전용 AI 칩을 만들어 거래를 이어왔다.

美 '전기차 보조금 제외' 세부 규정 발표…한·중 합작법인 긴장

美 '전기차 보조금 제외' 세부 규정 발표…한·중 합작법인 긴장

미국 재무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에서 제외되는 ‘외국 우려기업’(FEOC)에 대한 세부 규정을 다음달 1일(현지시간) 발표할 전망이다. 현재로썬 중국 국영기업이 FEOC에 포함될 것이 확실시되고, 이들 기업의 배터리나 부품, 핵심광물을 쓴 전기차 제품에 대해 공제 혜택을 주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미중 기술냉전 20년은 간다” 시진핑 주목한 워싱턴 독설가

“미중 기술냉전 20년은 간다” 시진핑 주목한 워싱턴 독설가 유료 전용

미국과 중국의 기술 경쟁이 이른바 ‘기술냉전(Tech Cold War)’ 단계에 들어섰다. 당사국 가운데 카드를 더 많이 쥔 미국은 기술냉전을 어떻게 끌고 갈까.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워싱턴 싱크탱크인 로버트 앳킨슨 기술혁신재단(ITIF) 회장을 화상으로 인터뷰했다. 앳킨슨 회장은 미 과학기술전략의 ‘대변자(mouthpiece)’로 통한다.

삼국지 관우의 브로맨스에 반했다…중국인들의 '꽌시' 로망 [류재윤의 내 친구, 중국인]

삼국지 관우의 브로맨스에 반했다…중국인들의 '꽌시' 로망 [류재윤의 내 친구, 중국인]

관우(關羽)는 꽌시의 모델이자, 동시에 이상형(理想型)이다. 꽌시, 듣기만 해도 거북하지만, 알아보자 그래도. 중국인들과의 마주침은 이제는 비단 중국에서만 벌어지지 않는다. 해외에서도 심지어 우리나라에서도 만나게 된다.

중국 항저우를 적신 시인 정지용의 ‘향수’ [김응교의 가장자리]

중국 항저우를 적신 시인 정지용의 ‘향수’ [김응교의 가장자리]

중공군 병사 한 명이 가족에게 전해달라며 유품을 상관에게 전한다. 소낙비마냥 쏟아지는 포화를 뚫고 병사는 토치카까지 기어간다. 기총 사격을 맞은 병사가 던진 수류탄에 토치카는 파괴된다. 중국 항저우 붉은 깃발이 오르면서, 인해전술로 뛰어가는 전쟁영화다. 지난 17일 중국 항저우의 한 호텔에서 본 영화다. 그때 나는 이튿날 항저우사범대에서 강연할 시인 정지용(1902~1950)의 자료를 검토하고 있었다.

"한미일 동맹간 신뢰 다진 후 중국에 가능성 열어줘야" [중앙포럼]

"한미일 동맹간 신뢰 다진 후 중국에 가능성 열어줘야" [중앙포럼]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은 우선 북핵 문제마저 미·중 경쟁에 빠져들고 있다며 “북·중·러 간 적대적 연합이 이뤄지며 우리에 대한 안보 위협도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첨단기술 영역에서는 중국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는 움직임에 동참하라는 요구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추천 패키지
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