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실망 3개월] ④ 한나라 지지자들도 'MB국정운영'에 D학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월간중앙 한나라당 지지자들도 MB에 부정적이기는 마찬가지다. 장관 및 청와대비서관 인사,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전면 개방, 경제 살리기, 물가 안정, 18대 총선 한나라당 공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의 관계 설정 등에 대해 모두 60점 미만의 D학점을 매겼다.

보수 성향의 국민도 과반수가 MB의 국정운영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MB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 평가율 : 보수 성향 55.9%, 중도 성향 67.8%, 진보 성향 83.3%). 진보적 성향의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다.

계층별 국정운영 지지도는 MB가 어느 계층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MB의 국정운영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사람들은 서민층만이 아니다(MB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 평가율 : 부유층 100.0%, 중산층 66.1%, 서민층 67.4%). 중산층도 서민층만큼이나 그의 국정운영에 회의적이다.

심지어 부유층의 시선도 곱지 않았다(우리는 이번 조사에서 부유층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 말에 대한 저항감이 ‘나는 부유층’이라는 응답률에 영향을 미친 듯하다.

아마 상류층 같은 말을 썼다면 부유층의 응답률이 더 높아졌을 것이다. 어떻든 스스로 부유층이라고 답한 5명은 모두 MB의 국정운영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MB의 잠재적 지지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보수층과 중산층도 그 동안 그가 한 일에 대한 평가가 호의적이지 않다. 경제 살리기, 18대 총선 한나라당 공천, 박근혜 전 대표와의 관계 설정 같은 문제에 대한 인식을 보면 보수층과 중산층 모두 51점 이하의 D학점을 줬다(경제 살리기 : 보수층 51점, 중산층 45점. 18대 총선 공천 : 보수층 48점, 중산층 47점. 박 전 대표와의 관계 설정 : 보수층 46점, 중산층 42점).

보수층의 과반수는 MB정부가 경제를 살릴 것(64.4%)이고 신뢰할 만하다(56.7%)고 답했지만, 중산층은 경제를 살릴 것(56.0%)이라는 기대만 있었다. 중산층 가운데 MB정부가 신뢰할 만하다는 응답은 42.1%에 그쳤다. 심지어 이들은 MB정부가 지나치게 친기업적이라는 인식을 보였다(보수층 60.7%, 중산층 71.5%).

전체 응답자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MB의 국정운영이 기대에 못 미친다고 밝혔다(보수층 74.2%, 중산층 78.6%). 단 앞으로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전망했다(앞으로 국정운영을 잘할 것 : 보수층 66.3%, 중산층 55.6%).

지역별로도 MB의 지지도가 전국 지지도(22.6%)를 상회하는 지역은 수도권뿐이다(서울 29.8%, 인천·경기 29.2%, 제주 22.2%, 대전·충청 20.3%, 부산·울산·경남 17.7%, 대구·경북 15.3%, 강원 12.8%, 광주·호남 10.5%). 대선 당시 그의 아성이었던 대구·경북을 비롯해 나머지 전 지역이 전국 지지도 수준을 밑돈다.

이렇게 지지도가 폭락하다 보니 호남권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그의 지지도는 대선 당시 득표율을 밑돌았다. 호남권의 경우 MB의 대선 득표율이 워낙 낮았다.

그 바람에 지지도가 그 아래로 내려가기가 쉽지 않다. 그 결과 아이로니컬하게도 유일하게 이 지역에서만 그의 지지도가 대선 득표율(광주 8.6%, 전남 9.2%, 전북 9.0%)을 웃돌았다.

이필재 월간중앙 편집위원

매거진 기사 더 많이 보기

▶ "국정운영 잘못" 67% MB 지지 과반 등돌려

▶ MB리더십 속성? 감성적·조급함·과업지향형

▶ MB에게 등 돌린 집단은 누구?

▶ 한나라 지지자들도 'MB국정운영'에 D학점

▶ 50대 이상도 "국정운영 잘못하고 있다"

▶ '촛불집회' 10대 학생들이 몰려드는 이유

▶ 헌정사상 가장 대표성이 취약한 소수 대통령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