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71% 박원순 제안한 '재난 긴급 생활비지원' 찬성

중앙일보

입력

박원순 서울시장. 뉴스1

박원순 서울시장. 뉴스1

서울시민 71.4%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10일 제안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은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중위소득 이하의 전국 약 800만 가구에 월 30만원씩 상품권을 2개월간 지원하는 것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1.4%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12~13일 만 18세 이상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임의 걸기(RDD)와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진 설문조사 결과다.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에 찬성하는 이유는 ‘코로나19에 따른 취약계층 피해 구제 시급’(39.7%)과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 필요’(30.7%) 순이었다. ‘위기에 취약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28.5%에 달했다.

서울시민은 모든 국민에게 지원금을 주는 '재난 기본소득'보다 박 시장이 제안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에 더 공감(61.5%)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개월 동안 가구당 30만원씩 총 60만원을 지급하는 지원금 규모에 대해선 서울시민 67.3%가 '적당하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정부 추경안에 '재난 긴급생계비지원'을 추가 반영해야 한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진 국민들에게 긴급지원금이 조속히 집행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추경 논의를 서둘러달라"고 당부했다.

재난 기본소득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재명 경기지사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재난 기본소득 지급의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여당 등에서는 이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이 지사는 지난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코로나19 사태가 두달이 되면서 극심한 경제 침체로 영세사업자, 한계기업, 비정규직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들을 중심으로 '병들어 죽기 전에 굶어죽겠다'는 아우성이 들린다"며 "재난 기본소득으로 전국민에게 100만원씩 지급해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실제로 전주시는 지난 13일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취약계층 5만명에게 52만원의 재난 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