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작년 불난 소래 어시장, 지금도 방풍비닐 옆 히터·가스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비상구 없는 위험사회 <상>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임시좌판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소화전 앞 불법주차 차량.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임시좌판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소화전 앞 불법주차 차량.

지난달 31일 오전 인천 남동구의 소래포구 어시장. 지난해 3월 불이 난 곳에 들어선 천막형 임시좌판 곳곳에 전기 히터들이 켜져 있었다. 주변엔 플라스틱 의자와 가스통 등 인화물질이 가득했고 찬바람을 막기 위해 설치한 대형 비닐이 바로 옆에 붙어 있었다.

전통시장·다중이용시설 가보니 #광주 시장엔 피복 벗겨진 전선 #소방차 출동로에 10여 대 불법주차 #수원 찜질방, 방화셔터 자리에 짐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임시좌판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소화전 앞 불법주차 차량.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임시좌판에 설치된 전기 히터와 소화전 앞 불법주차 차량.

관련기사

지난해 누전으로 좌판 220여 개가 불에 탔지만 화재 대비는 허술했다. 소화기를 갖춘 점포조차 찾아보기 힘들었다. 어시장 입구에 설치된 소화전엔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했다. 도로까지 내려온 점포들과 주위에 불법 주차된 차들로 가로막혀서다. 또 불이 나면 소방대원들이 소방호스를 들고 100여m를 뛰어야 하는 상황이다.

같은 날 오후 광주광역시의 한 전통시장. ‘소방차 출동로’라는 노란색 글씨가 적힌 시장 출입구에 차량 10여 대가 빼곡히 세워져 있었다. 주차비를 아끼거나 조금이라도 장을 편하게 보기 위해 불법으로 대놓은 차들이었다. 불이 나면 소방차 진입은 물론 손님이나 상인들의 대피조차 힘들어 보였다.

거미줄 처럼 엉킨 채 방치된 광주광역시 한 전통시장의 전선. [프리랜서 장정필]

거미줄 처럼 엉킨 채 방치된 광주광역시 한 전통시장의 전선. [프리랜서 장정필]

시장 곳곳에 설치된 소화기 역시 비상시 곧바로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상당수 소화기가 접착테이프로 고정되거나 고무통과 상자 등에 가려져 있었다. 점포와 천장 사이에 거미줄처럼 얽힌 전기선들은 먼지가 쌓이거나 피복이 벗겨진 채 방치된 곳이 수두룩했다.

경북 지역 한 공장의 녹슨 황산 배관과 밸브.

경북 지역 한 공장의 녹슨 황산 배관과 밸브.

복합상가 화재 등 잇따른 참사에도 ‘설마’ 하는 안전 불감증은 여전했다. 중앙일보가 전국의 전통시장과 다중이용시설, 해운업계 등의 안전 시스템과 소방시설 관리 실태 등을 밀착 취재한 결과다. 시민들은 “세월호 같은 참사가 다시는 발생해선 안 된다”고 하면서도 “내게는 설마 그런 일이 생기겠느냐”는 인식을 보였다.

목욕탕이나 찜질방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안전 시스템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난달 30일 방문한 경기도 수원시의 한 대형 찜질방. 방화 셔터가 내려올 자리에 수건 더미와 광고 입간판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 화재를 막기는커녕 더 키울 가능성이 커 보였다. 경기도가 최근 소방점검을 해 보니 목욕탕과 찜질방, 요양병원·요양원 등 2465곳 중 708곳이 ▶소방시설 고장 및 방치 ▶피난 장애 ▶구조 변경 등의 불법을 하고 있었다.

◆특별취재팀=한영익·송우영·이태윤·위성욱·임명수·김정석·홍지유 기자 hany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