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어린이 사망” “탄저균이 돈다” … SNS 이용 2배 늘어나며 괴담도 증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의사들끼리 돌리는 문자랍니다) 메르스는 이미 통제불능 상태고 병이 걸리면 자가면역력 있는 사람만 사는데 후유증이 무조건 남습니다.”

 서울 대치동에 사는 주부 이모(33)씨는 지난 5월 중순부터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인터넷 카페에 올라오는 메르스 관련 글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건강한 어린이 메르스로 사망’ ‘인구 청소 수준’ 등 무시무시한 글들도 눈에 띄었다. 딸과 함께 집에만 있던 이씨는 결국 이달 초 남편만 남겨둔 채 시댁인 제주로 갔다. 이씨는 “카톡과 트위터로 오가는 글을 보고 있자니 무서워서 더 이상 서울에 있을 수 없었다”고 했다.

 두려움의 감정이 SNS를 타고 빠르게 증폭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SNS상에 질병 관련 정보나 사건·사고에 대한 영상이 실시간으로 전파되는 데 따른 것이다. 범죄 건수가 줄고 있는데도 두려움은 오히려 커지는 기현상도 나타난다. 지난 1월 경찰청이 발간한 ‘치안전망 2015’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살인·강도 등 주요 강력범죄는 감소하는 추세다. 하지만 빅데이터를 통해 드러난 한국 사회의 감성은 반대였다. 다음소프트에 따르면 지난 7년간 온라인 공간에서 ‘두려움’과 관련한 감성 연관어는 37%가량 증가했다.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도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 속에 확인되지 않은 정보와 괴담이 퍼져나갔다. 특히 30~40대 엄마들 사이에서 SNS를 통해 ‘메르스가 아니라 탄저균이 돈다’는 등의 유언비어가 확산되면서 두려움이 극대화됐다.

 전문가들은 “비슷한 사안이라도 반응이 더 민감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감염병의 확산이나 재난 현장의 공포가 SNS를 통해 순식간에 전국민에게 공유되고 있기 때문”(현택수 한국사회문제연구원장)이라는 것이다.

 SNS 이용자가 급격히 늘어나 유통되는 정보량이 증가한 것도 원인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전국 1만464명을 대상으로 한 ‘2014년 한국 미디어패널조사’에 따르면 2011년 16.8%였던 SNS 이용자 비율은 2014년 39.9%로 3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었다.

 전문가들은 “SNS에서 전파되는 감정 가운데 두려움의 강도가 가장 강한 편”이라고 말한다. 서울대 곽금주(심리학) 교수는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낄 때 소문을 더 쉽게 믿게 되고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소문을 더 많이 퍼뜨리는 경향이 있다”며 “SNS가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확산 속도가 걷잡을 수 없이 빨라졌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정강현(팀장)·유성운·채윤경·손국희·조혜경·윤정민 기자 fone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