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나테 홍 방북 성사 배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레나테 홍 할머니 일행의 북한 방문이 성사된 배경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먼저 독일 정부가 북한을 상대로 펼친 물밑 외교전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당초 북한은 지난해 1월 말 이 문제를 조용히 마무리 지으려 했다. 레나테 할머니의 남편 홍옥근씨가 함흥에 생존해 있다는 사실만 독일에 확인해 주고는 “우리의 의무를 다했다”고 통보했기 때문이다. 독일에 생색은 내되 최소한의 성의를 보이는 수준에서 끝내려던 셈이었다.

그러나 독일이 인도주의를 내세워 레나테 가족의 상봉을 거듭 요구하자 결국 북한은 이를 수용하기로 방향을 틀었다. 종전 동구권의 외국인 이산가족 상봉 요청을 계속 외면해 오던 관례에 비춰볼 때 파격적이다.

이 같은 결정은 북한의 경제적인 이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독일은 서방국가 중 북한에 경제·문화적으로 가장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독일 주재 홍창일 북한 대사가 외무성이 아닌 무역성 출신이란 사실만 봐도 북한의 독일에 대한 경제적인 기대를 단박에 읽어낼 수 있다. 독일은 2001년 쇠고기를 지원한 것을 비롯해 크고 작은 경제 원조를 북한에 제공하고 있다. 독일 구호단체 ‘카프 아나무르(구조 의사회)’ 등 민간단체도 꾸준하게 대북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이 밖에 독일의 대기업 17개 사가 공동으로 설립한 동아시아협회(OAV) 평양사무소는 북한과 서방 교역활동의 주요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또 독일은 북한의 학생과 관리·언론인들의 유학을 정기적으로 받아들여 북의 고등 인력 양성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이 독일의 요청을 매몰차게 거절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국제적인 여론의 압박 또한 레나테 할머니의 상봉에 멍석을 깔아 줬다. 지난 1년9개월에 걸친 중앙일보의 집요한 보도로 레나테 가족의 상봉 문제는 국제사회의 이슈로 떠올랐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김대중 전 대통령,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전 독일 대통령 등이 돕겠다고 나선 것도 북한으로선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예나(독일)=유권하 기자

[J-HOT]

▶ 생이별 47년만에…남편 만나러 평양갔다

▶ 동행한 두 아들 "처음 만나는 아빠 상상 안가"

▶ 레나테 홍 일행 방북 성사엔 중앙일보의 '힘'도

▶ 44년만에 남편 첫 답장…할머니 70세 생일날에

▶ [편지] "정치란 때론 바보 같은 일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