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석열 시대 첫 한·미 정상회담 D-7]김성한, 대선 때부터 대미 외교 밑그림…설리번, 오바마 때부터 대북 정책 조율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788호 09면

SPECIAL REPORT 

오는 21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주요 외교안보 인사들의 면면과 성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윤석열 정부 외교안보 라인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공식 석상에 처음 데뷔하게 된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 초대 외교안보팀은 윤 대통령이 그동안 한·미동맹 강화와 국익에 기반한 주변국 외교를 강조한 것에 부합하는 인사들로 구성됐다는 게 외교가의 공통된 평가다.

실제로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박진 외교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등 핵심 인사들 모두 ‘미국통’으로 꼽혀온 참모들이다. 김 실장은 지난 대선 때부터 윤 대통령의 대미 외교 공약 밑그림을 그려온 한·미동맹 우선론자다. 그는 기존의 한·미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키고 미국·일본·호주·인도 안보 협의체인 ‘쿼드(Quad)’에도 점진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 왔다.

관련기사

한·미 주요 외교안보 라인

한·미 주요 외교안보 라인

4선 국회의원인 박 장관은 2008년 한·미 의원 외교협의회 단장으로 미 의회를 방문해 당시 상원 외교위원장이던 바이든 대통령과 독대한 경험이 있다. 지난달엔 한·미 정책 협의단장 자격으로 방미길에 올라 한·미 연합훈련 정상화 등 한·미 관계 강화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이 장관은 신연합방위추진단장을 맡아 한·미 연합 지휘 구조를 설계하는 등 작전 전략가로 불린다.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재가동 등 한·미 군사 협력 확대 논의가 본격화할 경우 이 장관이 주된 소통 창구가 될 전망이다.

주미대사로 내정된 조태용 의원과 김규현 국가정보원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등도 주목의 대상이다. 특히 정통 외교관 출신으로 정보기관 수장에 임명돼 관심을 모은 김 원장은 북미1과장과 주미공사를 지내는 등 외교부 내에서도 ‘워싱턴 스쿨’의 대표적 인사로 꼽힌다. 김 차장은 이명박 정부 때 청와대에서 4년4개월간 근무하며 대미·대북 현안을 사실상 진두지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북한이 비가역적으로 핵을 폐기할 경우 경제 지원과 안전 보장을 약속한다는 ‘그랜드 바겐(일괄 타결)’ 구상을 입안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맡기도 했다.

북핵 문제 등 외교안보 현안에 강경한 목소리를 내왔던 이들의 기존 입장이 새 정부 출범을 전후로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박 장관은 지난 2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한·미동맹 재건이란 용어가 부적절하다는 데 동의하느냐’는 질의에 “그렇다. 대신 ‘강화’라는 표현을 쓰겠다”고 답했다. “동맹이 무너졌다는 것이냐”는 지적이 잇따르자 한발 물러선 것이다.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고고도 미사일 방어(THAAD·사드) 체계 추가 배치도 ‘현실론’을 이유로 최종 국정과제에서는 제외됐다.

윤석열 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이 갖춰지면서 이들과 마주할 바이든 행정부의 카운터파트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실장의 파트너로는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나설 예정이다. 설리번 보좌관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힐러리 클린턴 당시 국무장관과 바이든 당시 부통령을 보좌하며 대북 정책을 조율한 바 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미 정부가 핵 위협 국가 대응 전략을 짜는 데 수차례 관여한 경험이 있다. 2015년 7월 타결된 이란 핵 합의안이 대표적이다.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인 ‘전략적 인내’ 전략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현지 일정상 21일 한·미 정상회담에는 배석하지 못할 것으로 보임에도 그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번 회담을 앞두고 눈길을 끄는 또 다른 조합은 양국 대사다. 주미대사로 내정된 조 의원은 윤 대통령이 지난달 방한한 성 김 미 대북특별대표와 비공개 만찬을 할 때 외교안보 인사 중 유일하게 참석할 정도로 윤 대통령의 신임이 두텁다는 평가다.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대사 지명자도 2009년 미 국무부 유엔 대북 제재 이행 담당 조정관 시절 북한 핵실험에 대한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안 이행을 이끌었다. 둘 다 한·미 정상 취임 후 첫 양국 주재 대사를 맡게 된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