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제·글로벌 규제 확산 … 사면초가 암호화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암호화폐 가격이 한 달 만에 4분의 1로 쪼그라들었다. 한국을 비롯한 주요국이 전방위로 암호화폐 시장을 옥죄면서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리플 등 알트코인 가격도 급락세 #일부 암호화폐 거래소 서비스 중단 #드라기 총재 “매우 위험한 자산” #미 상원 조사 따라 시세 출렁일 듯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6일 오후 한때 660만원까지 떨어졌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6일 2598만8000원으로 정점을 찍었다. 불과 한 달 사이 가격이 4분의 1로 쪼그라든 셈이다. 다른 코인도 상황이 비슷하다. 같은 기간 이더리움과 리플 가격은 각각 57.5%, 84.3% 급락했다.

한국에선 지난달 30일 암호화폐 거래 실명제 실시 이후 내림세가 두드러진다. 그날 같은 시각(1240만원)에 비하면 거의 반 토막 났다. 신규 거래가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다. 2014년 5월부터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해 온 코인피아는 “본인확인 실명제 연동을 은행 등에 요청했지만 여의치 않다”며 “6일 0시부터 거래를 중단하며 그 전에 취소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 취소된다”고 공지했다.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출금은 가능하나 거래 중단이 장기화하면 예치된 돈은 고객 계좌로 반환된다. 또 다른 거래소인 코인플러그는 1일부터 원화 입금 등 일부 서비스를 중단했고, 이야랩스는 당분간 신규 회원을 받지 않기로 했다. 한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는 “출금과 회원 탈퇴가 이어지고 있다”며 “최악의 경우 거래소 폐쇄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장 인건비나 운영비를 충당해야 하는 일부 거래소는 아예 법인 계좌에다 고객 돈을 담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법인 계좌를 쓰더라도 결국엔 실명제를 도입해야 한다. 이런 현상은 지난달 30일 규제책이 나왔을 때 사실상 예견됐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시스템 준비상황 등 은행별로 입장차가 있기 때문에 은행이 거부하면 궁극적으로 거래소 폐쇄와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규제는 국내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중국은 더욱 강력한 제재를 내놓았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은 5일(현지시간) “중국 당국이 인터넷 방화벽을 통해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차단할 것”이라며 “중국에선 여전히 암호화폐 불법 판매 등 위험이 존재하고 있어 규제는 더욱 강력해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자국은 물론 해외 암호화폐 거래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도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은 현재 자국 암호화폐 거래소를 폐쇄했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암호화폐 관련 광고도 금지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주요 인사들의 경고 발언도 잇따르고 있다.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은 6일(현지시간) 독일 괴테대 연설에서 “암호화폐가 화폐인 척하고 있지만 화폐의 기본 정의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가치의 척도로 기능할 수 없다는 것에는 모두 동의한다”고 말했다. 암호화폐가 기존 금융 시스템에 의존해 운영되는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지급 수단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비트코인은 ‘산소마스크’(상업은행 계좌)를 통해 공급된 산소에 의존하고 있을 뿐”이라며 “암호화폐 거래가 불법적인 데 활용되면 금융 당국과 중앙은행이 이를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5일 유럽의회에 출석해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는 규제받지 않는 ‘매우 위험한(very risky)’ 자산”이라며 “큰 변동성에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ECB 내 은행 감독기구에서 이런 디지털 자산이 감독기관에 가져올 수 있는 중대한 위험을 분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JP모건 등 미국 주요 은행과 카드사가 신용카드를 통한 암호화폐 매입을 금지한 데 이어 영국 최대 은행인 로이즈뱅킹그룹도 동참하기로 했다.

당장 6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가 주목된다.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의장이 출석해 암호화폐 문제를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CFTC는 현재 전 세계에서 암호화폐 상품권 역할을 해 왔던 테더코인의 시세 조작 의혹을 조사 중이다. 조사 현황이나 규제 강화 필요성 등 발언 수위에 따라 암호화폐 시세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하현옥·이새누리·장원석 기자 newworl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