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사드 장소 확정 시각부터 물리적 대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북한이 사드 배치 결정과 관련해 사흘 만인 11일 첫 반응을 내놨다.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포병국 명의의 ‘중대 경고’를 통해서다. 포병국은 “미국의 사드 체계 (배치) 장소가 확정되는 시각부터 우리의 물리적 대응 조치가 실행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특히 포병국은 “(사드 배치 결정은) ‘아시아판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를 구축해 동북아시아 지역 대국들을 견제하는 데 그 흉심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북한)와 세계 여러 나라의 반대와 배격(에도 불구하고 사드를 배치했다)”이라는 표현도 썼다.

한국 배치 결정 사흘 만에 첫 반응
“아시아판 나토, 동북아 대국 견제용”
인권제재 반발, 뉴욕 대화채널 끊어

중대 경고를 내놓은 기관이 미사일 전력을 총괄하는 ‘전략군’이 아닌 ‘포병국’이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전방에 포진시킨 포병 전력으로 사드를 제압할 수 있다는 점을 과시하려는 의도”라고 풀이했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동북아연구실장은 “북한이 언급한 ‘동북아 대국’은 중국과 러시아”라면서 “미·중 간 틈을 더 벌리고 중국과 러시아를 끌어당김으로써 ‘한·미·일 대 북·중·러’라는 전략적 대립구도를 고착화시키려는 북한의 의도도 담겨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중국은 ‘북·중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북·중 조약) 체결 55주년을 맞아 북한에 축전을 보냈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과 북한 쌍방은 상호 축전 방식으로 조약 체결 55주년을 기념했다. 축전 교환이 다양한 레벨에서 이뤄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고위층 방문에 대한 언급이 없어 50주년이던 2011년 장더장(張德江) 당시 부총리(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를 파견한 것과 같은 교류는 없었음을 시사했다. 북한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우리는 중국 동지들과 함께 조·중 친선협조관계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두 나라 사회주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사드 배치 결정을 이유로 중국이 당장 대북제재 고삐를 늦추거나 한국에 대한 경제 제재 카드 등을 꺼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신상진 광운대 국제학부 교수는 “중국이 대북제재 유엔 결의안의 전면적 이행을 약속한 데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인권유린 등으로 국제사회의 문제아로 낙인 찍힌 마당에 급격한 북·중 관계 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미국의 인권 관련 제재에 반발해 지난 10일(현지시간) 유엔대표부를 통해 “뉴욕 북·미 접촉 통로(이른바 ‘뉴욕 채널’)를 완전히 차단한다”고 미국 측에 통보했다고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김형구 기자 kim.hyoungg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