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가 검붉게 뒤덮였다…"코 찌르는 악취" 불청객의 습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백사장 따라 100m 넘게 이어져 

20일 오전 8시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밀려온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20일 오전 8시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밀려온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지난 20일 오전 8시 제주시 이호해수욕장 백사장. 검붉은 색의 괭생이모자반이 백사장 100m구간을 가득 메웠다. 겹겹이 쌓인 괭생이모자반의 너비는 3m가 넘었다. 가까이 가보니 해조류 특유의 비린내가 진동했다. 인근 갯바위에 뭉쳐진 모자반에선 부패로 인한 악취가 코를 찔렀다. 해양쓰레기를 치우는 바다환경지킴이 10여 명은 이날 이곳에서 500포대가 넘는 모자반을 수거했다.

이보다 앞선 16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항포포구에는 모자반이 포구 내 바닷물 전체를 검붉게 뒤덮었다. 정박한 어선이 조업에 나설 수 없는 상황이었다. 모자반이 포구 내에 가득 찬 상황에서 시동을 걸다 해초가 스크루 등 동력기관에 감겨 고장이 날 우려가 있어서다.

올해 벌써 800t...지난해 총 수거량 넘어  

이달 16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항포포구를 뒤덮은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이달 16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항포포구를 뒤덮은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제주바다 불청객’으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또다시 제주해안으로 밀려오고 있다. 제주도는 22일 “최근 2년간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던 괭생이모자반이 피서철을 앞두고 밀려와 행정력을 총동원해 수거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 괭생이모자반은 올해 들어 22일까지 800t이 넘게 수거됐다. 지난해 전체 수거량 414t, 2022년 수거된 502t을 이미 넘어섰다. 수거량은 2019년 860t, 2020년 5181t, 2021년 9755t으로 매년 늘어나다 2022년부터 500t 내외로 줄었다.

제주도, 해변, 항·포구 실시간 파악해 대처

20일 오전 8시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밀려온 중국발 괭생이모자반을 바다환경지킴이들이 치워내고 있다. 최충일 기자

20일 오전 8시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밀려온 중국발 괭생이모자반을 바다환경지킴이들이 치워내고 있다. 최충일 기자

제주도는 올해 모자반 유입이 늘어나자 해양수산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괭생이모자반 상황대책반’을 구성, 이달 2일부터 가동하고 있다. 대책반은 도·행정시·읍면동뿐 아니라 국립수산과학원·해양환경공단·한국어촌어항공단·제주지방해양경찰청·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수협 등 유관기관이 힘을 모은다. 각 기관은 도내 해변과 항·포구의 모자반 유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수거하고 있다.

먹지 못하고 냄새나...“바다지킴이 269명 투입”

이달 16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항포포구를 뒤덮은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이달 16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항포포구를 뒤덮은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괭생이모자반은 보통 3~6월 사이 주로 제주 해안에 유입된다. 제주도에 따르면 괭생이모자반은 동중국 연안 암석에 붙어살다 파도나 바람에 떨어져 구로시오 난류를 따라 북상을 시작한다. 이후 대규모 띠 형태로 대마난류를 타고 한반도 남서부 해역과 제주도로 대량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식용 모자반과 달리 억센 탓에 먹지 못한다. 해변에 방치되면 주변 경관을 해칠 뿐 아니라 악취를 풍기면서 매년 봄·여름철 제주바다의 골칫덩이로 인식된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제주 해양쓰레기를 처리하는 바다환경지킴이 269명이 괭생이모자반 수거 작업에 실시간으로 나서고 있다”며 “일부는 농가 비료 등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 양이 더 많아져 악취 등의 문제가 생기면 폐기물 쓰레기로 처리할 예정”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