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 바다 가도 오징어 없어요"…열병 걸린 동해가 비어간다 [창간기획-붉은 바다]
■ 「 바다는 인간이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탄소저장고이자 달궈진 지구의 열을 흡수하는 냉장고 역할을 한다. 하지만, 올해 전 세계 바다는 전례 없이 뜨거워지면서 그 기
-
음료·수프에 물 대신 '이것'…고단백 건강식, 생각보다 간단하다 [건강한 가족]
고단백식 실천 가이드 단백질, 신체 조직 형성 주요 성분 많은 양 섭취 땐 간·콩팥에 무리 매 끼니 일정량 꾸준히 섭취를 건강을 위해 단백질 식품을 챙겨 먹으라는 조언이
-
[소년중앙]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인 이유, 지리·역사·국제법적으로 풀어볼까요
“독도는 우리 땅~!” 어릴 때부터 많이 듣고 많이 부른 노래의 후렴구로 글자만 봐도 절로 흥얼거리게 되는 가사죠. 동해의 화산섬 독도는 우리나라 동쪽 끝에 있어 가장 먼저 해가
-
[노트북을 열며] 조기·명태가 사라진 바다, 그 이후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혹시 시간이 되면 오는 15일까지 계속되는 국립민속박물관 ‘조명치 해양문화특별전’에 가보시라. 조명치란 한국인의 밥상 3대 어종이라 할 조기·명태·멸치를 합쳐
-
[송호근의 세사필담] 해류는 몸을 뒤척이며 흐른다
송호근 본사 칼럼니스트·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 석좌교수 이순(耳順)에 도달한 함운경씨는 군산 횟집 주인이 됐다. 1985년 서울 미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주인공이자 전 삼민투위원장
-
흑산도·군산 '홍어 전쟁' 휴전…"7월부터 총허용어획량 확대"
전북 군산 어청도 인근 해역에 나간 한 어선에서 연승 어업을 통해 홍어를 연신 낚아 올리고 있다. [사진 군산 서해근해연승연합회] ━ 해수부 "흑산도·대청도 외 군산도 포함"
-
중국발 미세먼지처럼, 끈질긴 노력으로 오염수 자료 받아내야
━ 후쿠시마 오염수 남은 과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앞 탱크에 저장한 물을 ‘오염수’라고 불러야 하나, ‘처리수’라고 불러야 하나. 일본 측에서야 ‘처리수’라고 부르고 싶겠
-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정통부 양자컴퓨팅 대형 연구개발과제 수주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안도열 석좌교수(양자정보처리연구소장)가2023년4월 과학기술정통부에서 발주한32.5억원 규모‘NISQ환경에서 저부하,고효율 양자 오
-
후쿠시마 '방사성 세슘'…태평양 돌아 10년 만에 홋카이도 왔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로이터=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바다로 들어간 방사성 물질 세슘(Cs)-134가 10년 동안 북태평양을 한 바퀴 돌고 홋카이도로 되
-
호주서 동해까지 왔다…청산가리 10배 독성, 무서운 '파란선'
강한 독을 지닌 파란선문어가 국내에서 2012년 이후 30차례 이상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 온난화로 서식 범위가 동해안으로 확장하고 있어 해변을 찾는 시민들의 주의가
-
中 무너지거나 美 몰락한다…대만 그날, 경우의 수 24가지 유료 전용
지난 1월 미국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대만해협 워게임 보고서를 발표했다.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는 모의 전쟁에서 벌어지는 총 24차례 경우의 수를 확인했다. 결과는? 대
-
'붉은 바다' 만든 중국발 불청객…제주 덮친 '비린내' 정체
━ 포구 덮친 괭생이모자반 '비린내' 진동 지난 5일 낮 12시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고내포구를 가득 채운 괭생이모자반과 각종 해양쓰레기. 최충일 기자 지난 5일 낮 12
-
만두소가 갈치 아닙니다…고소함 극치, 은갈치만두 유료 전용
미식을 완성하는 건 페어링이다. 함께 먹으면 서로의 매력을 돋보이게 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잘못된 조합은 맛을 더하기는커녕 음식과 술 본연의 맛을 해친다. 〈완벽한 한
-
"역대급 폭염 덮친다"…지구 뜨겁게 달구는 '아기 예수' 정체
11일(현지시각) 이상고온 현상으로 독일 알프스 지역의 한 스키장에 눈의 거의 내리지 않으면서 대부분의 슬로프가 문을 닫았다 AP=연합뉴스 올해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비정
-
난기류에 튕겨나온 승객, 천장에 '쾅'…하와이행 항공기 '공포의 30분'
18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행 하와이안항공(HA35) 여객기가 착륙 약 30여 분을 앞두고 1만m 상공에서 강력한 난기류를 만나 승객 최소 36명이 다쳤다. 난기류로
-
동해에 참치떼, 서해엔 오징어떼…한반도 '황금어장' 변했다, 왜
지난10월 강원 고성군 대진항에서 어민들이 잡아 온 방어를 배에서 내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동해안 방어 어획량 지난해보다 ‘2790t 증가’ 어획량 5954
-
불가사리 먹어치운 초대형 고둥 포착…'신비의 섬' 백도의 비밀 [영상]
백도 바닷속에서 멸종위기 1급인 나팔고둥이 불가사리를 사냥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국립공원공단 남해 다도해국립공원 거문도에서 바닷길을 따라 동쪽으로 1시간
-
"낚시꾼 오지마" 갯바위 막은 주민들…'낚시천국' 거문도 무슨일
11월부터 갯바위 생태휴식제를 시행한 거문도 선착장에 낚싯배가 정박해 있다. 천권필 기자 남해에는 낚시꾼들 사이에서 최고의 낚시 포인트로 꼽히는 세 개의 섬이 있다. 가거도와 추
-
유령그물에 당한 거북...'멸종위기종 천국'은 충격 그 자체였다 [영상]
국립공원연구원과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등 민관 합동으로 홍도 수중 생태계를 조사하는 중에 발견된 쓰레기들.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3일 경남 통영시 영운항에서 배를 타고
-
[분수대] 군중 난류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는 매년 이슬람 성지 순례 기간 수백만 명이 몰려든다. 자마라트 다리에서 ‘악마의 돌기둥’에 돌을 던지는 의식은 성지순례의 하이라이트다.
-
겁에 질려 사람 밟는다? 노이즈 뒤 '군중지진' 벽도 무너뜨렸다
대규모 군중이 몰려들며 발생하는 ‘군중 압착(crowd crush)’ 사고는 1990년대 이후 빈번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하고 운송 수단이 발전하면서 선진
-
신화처럼 펼쳐지는 기이한 사건들
토템과 터부 토템과 터부 한은호 지음 나남 소설 『토템과 터부』는 ‘휴스턴에 눈이 내렸다’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휴스턴은 미국 남부 텍사스주에서도 남쪽. 기상이변으로 실제
-
'휴스턴의 눈'처럼...기이한 사건들이 신화처럼 펼쳐진다[BOOK]
책표지 토템과 터부 한은호 지음 나남 소설『토템과 터부』는 ‘휴스턴에 눈이 내렸다’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휴스턴은 미국 남부 텍사스주에서도 남쪽. 기상이변으로 실
-
"홍어는 우리의 것이다"…총성 없는 전쟁 치르는 흑산도∙군산
━ '군산 홍어' 시대 오나…주산지 급부상 전남 신안군 흑산도와 전북 군산시가 홍어 주도권을 놓고 '총성 없는 전쟁'을 하고 있다. 여전히 '홍어=흑산도' 공식이 대세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