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 먹고 몸 씻으며 ‘타락’했다…싯다르타가 깬 ‘고행의 허상’

  • 카드 발행 일시2024.05.08
 “삶이 고통의 바다”라고 여기는 우리에게 “삶은 자유의 바다”라고 역설하는 붓다의 생애가 궁금하지 않으세요? 백성호 종교전문기자가 ‘붓다뎐’을 연재합니다. ‘종교’가 아니라 ‘인간’을 다룹니다. 그래서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종교와 상관없이 말입니다.
사람들은 지지고 볶는 일상의 소리에 깜짝깜짝 놀라며 살아갑니다. 그런 우리에게 붓다는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가 돼라”라고 말합니다.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이 돼라”라고 합니다. 어떡하면 사자가 될 수 있을까. ‘붓다뎐’은 그 길을 담고자 합니다.
20년 가까이 종교 분야를 파고든 백성호 종교전문기자는 작가이기도 합니다.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예수를 만나다』『결국, 잘 흘러갈 겁니다』등 10권의 저서가 있습니다. 붓다는 왜 마음의 혁명가일까, 그 이유를 만나보시죠.

(16) 고행자는 몸을 씻는 것조차 타락이었다

파키스탄의 라호르 박물관에는 붓다의 ‘고행상’이 있다. 간다라 미술의 수작으로 꼽히는 조각상이다. 고행상을 보면 싯다르타의 고행이 어디까지 갔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앙상한 피부 밖으로 갈비뼈가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살은 꺼지고 핏줄이 더 두드러져 보인다. 두 눈은 움푹 들어가 해골 같고, 뱃가죽도 쑥 꺼져 있다. ‘배를 만지면 등뼈가 손에 잡혔다’는 경전의 기록이 실감 날 정도다.

#고행의 종점에 해탈이 있을까

싯다르타는 거의 죽음을 눈앞에 둔 상황이었다. 당시 그는 자이나교처럼 곡기를 끊고서 삼매에 든 채로 죽기를 원했던 걸까. 그걸 완전한 열반이라고 생각했던 걸까. 고행림에서 싯다르타가 고행의 극한에 이르러 목숨이 위태롭다는 소식이 아버지 숫도다나 왕에게 들어갔다.

싯다르타의 고행 모습을 담은 고행상. 움푹 들어간 두 눈에서 깊은 고요가 엿보인다. 중앙포토

싯다르타의 고행 모습을 담은 고행상. 움푹 들어간 두 눈에서 깊은 고요가 엿보인다. 중앙포토

왕은 즉시 마부 찬나를 보냈다. 따듯한 옷과 기운을 차릴 음식을 함께 보냈다. 싯다르타는 이를 거절했다. 여기서 고행을 멈춘다는 건, 수행을 포기하는 거라 생각했다. 찬나는 어쩔 수 없이 다시 궁으로 돌아갔다.

무려 6년이었다. 싯다르타의 고행은 출가 후 6년째 이어지고 있었다. 싯다르타의 목숨이 위태롭다는 소식에 숫도다나 왕은 다른 신하를 보냈으나 소용이 없었다. 싯다르타의 고집을 꺾을 수는 없었다.

당시 고행림에 있던 2만여 명의 고행자가 싯다르타를 우러러보았다. 그 누구도 싯다르타처럼 죽음 직전의 고행 상태까지 가지는 않았다. 싯다르타는 말 그대로 삶과 죽음의 경계선까지 갔다. 여차하면 죽을 수도 있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서울에 있는 사람들에게 누군가 말했다. “부산에 가면 엄청난 보물이 있어.” 누구는 믿고, 누구는 믿지 않을 터이다. 그래도 논쟁은 계속된다. 부산에 보물이 있다는 주장과 없다는 주장이 맞선다. 이런 논쟁을 종식하려면 어찌해야 할까. 부산에 가보면 된다. 그럼 금방 안다. 부산에 보물이 있는지 없는지 말이다.

싯다르타도 그랬다. 당시 인도의 수행자는 다들 고행의 극한에 해탈이 있다고 했다. 해탈하면 생로병사의 문제가 풀린다고 했다. 싯다르타는 몸소 갔다. 고행의 극한까지 갔다. 그런데 그곳에는 보물이 없었다. 깨달음도 없고, 해탈도 없었다. 팔리어 경전에서 싯다르타는 이렇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