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김수환 추기경과 아름다운 마무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김수환 추기경은 떠나는 모습마저 아름다웠다. 사는 동안 미리 죽음을 준비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가진 것을 남김없이 베풀고 가겠다는 뜻에서 1990년 일찌감치 장기 기증을 서약했다. 또 마지막까지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지키고자 의료진에게 무의미한 연명 치료를 절대 하지 말 것을 여러 차례 당부했다. 그런 의사를 주변에서 존중해 줬기에 김 추기경은 편안히 삶을 마감할 수 있었다. 선종 직후 안구 적출 수술도 실시됐다. 고인은 떠났어도 머잖아 그의 각막을 이식받아 두 생명이 새 빛을 찾게 된다.

김 추기경의 아름다운 마무리는 웰빙 못지않게 ‘웰다잉(well-dying)’ 역시 중요함을 일깨워 준다. 안타깝게도 많은 이들이 별 준비 없이 죽음을 맞고,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방식으로 삶의 마지막을 보내는 게 현실이다. 존엄사 제도의 정착이 시급한 건 그래서다. 환자들이 생전 유언을 통해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호스피스 등 치료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고 가족과 의료진이 이를 존중하는 시스템이 뿌리내려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의료기술의 획기적 발달로 회생 가능성이 희박한 환자들마저 오랜 기간 기계에 의존해 고통스럽게 목숨을 부지하다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다. 김 추기경처럼 사전에 연명 치료 거부 의사를 밝힌 경우에도 이를 따른 의료진이 형법상 살인방조죄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은 게 현 실정이다. 주치의가 교구청에 공증을 요구하고, 정진석 추기경이 “내가 책임지겠다”고 나서야 했던 이유다. 더 이상의 혼란을 막자면 존엄사의 명확한 제도적 기준이 확립돼야 한다.

아울러 김 추기경의 베풂 정신이 널리 퍼져 장기 기증이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현재 국내에서 장기 이식을 애타게 기다리는 환자가 1만8000여 명에 달한다. 그러나 장기 기증자는 그에 훨씬 못 미친다. 지난해 뇌사 장기 기증자가 사상 최다였지만 여전히 256명에 불과하다. 각막 이식 대기 환자도 3600여 명이지만 지난해 기증자는 88명에 그쳤다. 남은 자들에게 새 삶을 선물하고 가는 것만큼 아름다운 마무리는 없다. 김 추기경의 선종이 좋은 모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