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쌀 과잉생산 부추길 양곡법 밀어붙인 거야의 횡포
━ 민주, 재정 악화 우려되는 ‘악법’ 일방 강행 처리 ━ 입법 폭주 막으려면 대통령 거부권 행사 불가피 더불어민주당이 23일 국회 본회의에서 남아도는 쌀의 정부
-
[사설] 헌재가 입법 문제 지적한 검수완박법, 폐기가 맞다
━ 재판관 과반, 꼼수에 의한 법사위 통과 위헌으로 봐 ━ 효력 정지되지 않은 악법, 국회가 스스로 정리하길 더불어민주당이 지난해 ‘검수완박법’을 국회에서 통과시키
-
‘큰돌고래 무단 이송’ 기소유예→기소…검찰 판단 뒤집혔다
돌고래 태지. 사진 서울시 제주에서 사육하던 큰돌고래를 거제씨월드로 무단 이송한 사건을 제주지검이 기소유예했다가 재수사 끝에 관련자들을 재판에 넘겼다. 23일 제주지검은
-
[사설] 기소된 이재명…이제 자신의 거취 진지하게 고민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 검찰, 4895억 배임과 133억 뇌물 혐의로 이 대표
-
[사설] 공영방송 독립성과 공정성 해칠 방송법 강행 처리
지난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청래 위원장이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방송법 개정안에 대한 본회의 부의를 의결하고 있다. [뉴스1] ━ 민주
-
"을지문덕 살수대첩, 물 공격 없었다" 물의 비밀 폭로한 박사
세계 물의 날을 이틀 앞둔 지난 20일 전남 순천시 상사면에 있는 주암댐이 20일 오후 말라붙어 갈라진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극심한 가뭄이 1년가량 이어지면서 광주·전남 주요
-
[사설] 대통령의 한·일 관계 설명…쌍방향 소통이면 더 좋았겠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한일관계 정상화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치적 이익 위해 최악의 양국 관계 방치할
-
[사설] 포스트 코로나 대비, 비대면 진료 입법 서둘러야
팬데믹 이후 정부가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한시적으로 허용하면서 닥터나우 외에도 다양한 비대면 진료 앱들이 출시됐다. 왼쪽부터 올라케어, 굿닥, 메디르. 각자 다른 서비스 특징을
-
[사설] 문재인 전 대통령은 과연 잊히고 싶은 게 맞나
문재인 전 대통령(왼쪽)과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용진 페이스북 ━ “이재명 대안 없어” “당 달라져야” 아전인수 논란 낳아 ━ 팬덤정치 폐해 “양념”이라 했던
-
[사설] 요동치는 세계 금융시스템 위기, 한국도 철저 대비를
스위스 제네바의 한 거리에 있는 금융기업 UBS 너머로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CS)의 간판이 보인다. [AFP=연합] ━ 세계적 투자은행 CS, UBS 인수로 기사회생
-
[사설] ‘독도·위안부 거론’ 돌출 변수 안 되도록 해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6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을 마친 뒤 열린 양국 공동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악수를 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
-
[사설] 지방대 파격 지원, 대학 구조개혁의 신호탄 되길
글로컬 대학위원회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연합뉴스] ━ ‘글로컬 대학’ 육성 위해 1000억씩 30개 대학 지원 ━ 쇠락 도
-
[이번 주 리뷰]美 CS 발(發) 금융위기…연이은 도발 北, 한일정상회담 날엔 ICBM까지(13~18일)
3월 셋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프리덤실드 #북한 미사일 도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한일 정상회담 #SVB 파산 #세계금융불안 #오커스(AUKUS) #양자경 #시진핑
-
[사설] 경제·안보 성과 얻은 한·일 정상회담, 숙제도 산적
━ 정상 간 신뢰 다져 미래 협력 토대 구축 ━ 반도체 수출 규제 풀어 양국 윈윈 도모 ━ 국내 반대 여론 설득, 강경파 관리 필요 윤석열 대통령이 1박 2
-
"뉴욕 만남 때와는 딴판, 눈 녹았다" 日언론의 정상회담 평가
16일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 대해 일본 정부와 여야 정치인들은 한 목소리로 "한일 관계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며 환영했다. 일본
-
[사설] 주 52시간제 둘러싼 정책 혼선 걱정된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 부처 발표 뒤 윤 대통령이 “주 60시간 이상
-
[사설] 미래로 함께 나아갈 출발점 된 한·일 정상회담
━ 셔틀 외교 재개, 지소미아 복원 등 성과 작지 않아 ━ 일 총리 직접 사과 빠진 건 유감, 윤 결단 화답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1박2일 일정으로 방일해 기
-
[사설] 반도체 전쟁, 여·야·정 삼위일체의 지원 필요하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부는 회의에서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
[사설] 포스트 BTS가 없다…방시혁이 던진 K팝 위기론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이 15일 관훈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K팝 위기론을 제기하고 있다. 뉴스1 ━ 빌보드 ‘핫100’ 진입 53% 감소 등 하락 지표 명확 ━
-
[힘내라! 대한민국] ‘1% 행복나눔기금’ 292억원 조성해 지원
SK이노베이션 SK 울산콤플렉스는 지난달 21일 울산 야음장생포동 행정복지센터에서 ‘SK 한끼나눔 온(溫)택트 지원사업’ 전달 행사를 개최하고, 사업 소요 경비 1억2000만
-
[사설] 친윤 일색 여당, 대통령에게 현장의 민심 제대로 전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 초청 만찬에서 김기현 신임 당 대표를 비롯한 참석자들과 환담을 나누며 웃음짓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사설] 근로시간 유연제, MZ세대 의견 끌어안아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 대통령, “내용 보완할 점 검토하라”
-
김용철 전 대법원장 별세…향년 99세
故 김용철 전 대법원장. 대법원 제공 전두환 정부의 마지막 사법부 수장이었던 김용철 전 대법원장이 14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99세. 1924년 경북 성주에서 태어난 김
-
[사설] 신입생 적어 입학식도 못 한다…사립대 퇴로 마련 시급
2017년 폐교된 서남대의 녹슨 안내판. [중앙포토] ━ 정원 미달된 대학 60개, 이 중 80%가 지방대 ━ 대학 정원 47만, 내년 입학 자원은 37만 불과 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