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2년 만에 작품 ‘비몽’ 으로 돌아온 이나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이나영과 일본 배우 오다기리 조가 공연한 김기덕 감독의 ‘비몽’.

 

“저도 시사회에서 영화를 처음 봤어요. 내가 찍었다, 라는 느낌보다 내가 저 안에 있네, 라는 느낌이에요. 마치 꿈 같아요. 장면마다 그때의 감정은 기억이 나는데, 정말 내가 영화를 찍었던 걸까, 싶어요. 좀체로 갖기 힘든 이런 느낌, 참 좋아요.”

신작 ‘비몽’의 개봉(9일)을 앞둔 배우 이나영(29)을 만났다. 2년 전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하 우행시)으로 흥행 성공을 거둔 뒤, 그녀는 뜻밖에도 김기덕 감독의 영화를 선택했다. ‘비몽’은 조형적 대칭구도가 두드러지는 영화다. 주인공 진(오다기리 조)과 란(이나영)은 서로 모르는 사이인데, 어느날 밤 벌어진 교통사고 때문에 서로의 기이한 관계를 깨닫게 된다. 진이 사고를 내는 꿈을 꾸자, 란이 몽유 상태에서 저도 모르게 실제로 사고를 낸 것이다.

"마음속으로 혼자 1년에 세 편씩 영화를 찍는다”는 이나영. [강정현 기자]

문제는 둘의 욕망이 정반대라는 점이다. 진은 헤어진 여자친구(박지아)를 그리워하며 찾아가는 꿈을 거듭 꾼다. 그러면 란은 얼굴도 보기 싫은 예전 남자친구(김태현)를 제발로 찾아가는 끔찍한 일을 겪어야 한다. 서로 잠을 쫓으면서, 번갈아 잠들면서, 란과 진은 로맨틱 코미디 같은 공존을 잠시 이루지만, 불가분의 숙명은 비극으로 이어진다. 4명의 등장인물은 어쩌면 두 남녀의 분열된 자아, 혹은 사랑이라는 한 가지 현상의 스펙트럼처럼 보인다. 두 주연배우의 매혹적인 아름다움은 이런 상징성을 부각시킨다.

“시나리오를 보고 우와, 했어요. 김기덕 감독님 시나리오가 이렇게 재미있구나 놀랐죠. 저는 감독님 영화를 열심히 본 관객이 아니에요. 그래서 선입견이 전혀 없었죠.”

듣자니, 출연을 결정하고 불과 2주 만에 촬영이 시작됐다. 감독의 장기대로 촬영은 총 13회차, 초스피드로 끝났다. 처음 시나리오를 받아본 이후 두 달이 채 안 되는, 그야말로 꿈 같은 찰나였다. “이것저것 생각하지 않는 것도 좋았던 것 같아요. 대개의 캐릭터가 (시나리오에 나오지 않는) 밑바탕이 있잖아요. 예컨대 ‘우행시’의 유정이라면, 어렸을 때는 이랬겠지, 담배를 피우니까 가방이 지저분하겠지 등등. 그런데 ‘비몽’은 그렇게 따져가야 할 영화가 아니었어요. 영화적으로 포장이 됐다고나 할까. 그런데도 슬픈 장면을 찍을 때는 너무 가슴이 아팠어요. 몰입한 지 며칠 안됐는데도.”

영화 제목은 ‘비몽’(悲夢)인데 그녀는 ‘비몽(非夢)’으로도 해석했다. “꿈이 아닐 수도 있고, 굉장히 슬픈 꿈일 수도 있죠.”

감독은 이 영화에서 언어의 장벽을 무화(無化)시켰다. 오다기리 조는 일본어로, 이나영은 한국어로 대사를 주고 받는데, 이렇다할 설명이 없이도 서로 소통한다. “그것도 짱이다 싶었죠. 이상한 게, ‘비몽’은 뭐가 들어와도 다 어우러져 보였어요. 갈대밭에서 등장인물 네 사람이 연극적으로 어우러지는 장면도 너무 좋았고. 물론 일본어로도 대사를 받았죠. 중요한 단어나 동사는 외웠어요. (상대의 대사에) 감정이 치고 올라와야 하니까.” 속된 말로, 배우가 작품에 ‘꽂힌다’는 건 이런 경우인 모양이다. 그런데 이 배우의 불가해한 매력이 깊어지는 것은, 이 배우가 ‘꽂히는’ 대목이 겉보기와 사뭇 다르다는 점이다.

“이번 영화에도 나오지만, 역시나 저는 환자복이 잘 어울린다는 걸 느꼈어요. 드라마 ‘아일랜드’나 ‘우행시’도 그랬고, 최고로 잘 나와요. 병원 영화라도 하나 찍어야 할까봐요.(웃음)”

야박하게 말하자면, 그녀는 아름다움이라는 기득권을 지닌 덕에 그와 사뭇 다른 욕망을 좇는 게 아닐까. “저에 대해 뭔가 재미난 걸 했을 때 오히려 제 느낌이 더 나오는 것 같아요. 어떤 분들은 제가 광고에 나올 때 같은 옷을 입어야 예쁘게 봐주실 수 있지만, 굉장히 노멀하잖아요. 그렇게 꾸며놓으면 다 예뻐야겠죠.” 그녀가 좇는 바를 듣고 있자면, ‘재미’라는 말이 반복된다. “코미디도 하고 싶은데, 사람을 웃기는 감정은 제일 힘든 것 같아요. 제일 어렵다는 장르이기도 하고.”

‘우행시’와 ‘비몽’ 사이에 그녀에게 전해진 시나리오가 한둘이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 모두 인연이 닿지 않았다. “그래서 2년 만인게 너무 아까워요. ‘아는 여자’이후 ‘우행시’도 2년 만이었는데. 마음속으로는 저 혼자 스케줄 조정하면서 1년에 세 편씩 영화를 찍고 있거든요. 근데, 요즘 영화 뭐 재미있게 보셨어요? ‘다크 나이트’는 어떠셨어요? 저는 조커가 간호사 복장으로 병원 폭파하겠다고 협박하는 장면이 압권이었어요. 슬픈 코미디 같아 또 보고 싶어요. 사람들을 패닉 상태로 몰아넣으며 쾌감을 느끼는 한편 사람들이 쉽게 자기에게 넘어오는게 슬프게도 느껴졌을 것 같아요. 슬픈 코미디죠…” 자, 어디 그녀에게 권해줄 슬픈 코미디 시나리오 없을까. 

이후남 기자, 사진=강정현 기자

[J-HOT]

▶ "세계 경제 괴롭힐 다음 위기는 디플레이션"

▶ R.ef 출신 성대현, 최고 인기→그룹 해체→사업 실패 그 후

▶ 입대할때 몸값 수백만원…훈련 뒤 수십배 ↑

▶ 준대형 승용차시장 그랜저 독무대 끝

▶ 노년 성생활, □□만 없으면 80대나 90대에도 가능

▒ 중앙일보 라이프스타일 섹션 '레인보우' 홈 가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