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밥그릇’ 만든 교수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장은재 동덕여대 교수가 먹는 양을 줄여도 포만감은 줄지 않도록 개발한 ‘다이어트 밥그릇’을 소개하고 있다. 착시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장은재 동덕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51)의 별명은 ‘다이어트 박사’다. 미국 로드아일랜드대학에서 1992년 살 빼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기 때문이다. 동덕여대 비만연구센터 소장도 맡고 있다.

그런 장 교수가 내놓는 다이어트 처방은 아주 간단하다. ‘기본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종류와 무관하게 무조건 덜 먹어야 빠진다는 게 지론이기 때문이다.

그는 “지금까지 다이어트를 이야기할 때 먹는 음식의 종류에 지나치게 집착하고 양에는 무관심했던 게 사실”이라며 “조금 먹고 많이 움직이라는 기본에 충실한 게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다이어트란 게 성공한 사람보다 실패한 사람이 더 많은 게 현실이지 않은가. 말이야 바른 말이지, ‘덜 먹기’가 그리 쉬운 일인가. 장 교수는 ‘자주 먹는 것을 줄여라’라는 고전적인 다이어트 전략에 주목했다. 가랑비에 옷 젖는다고, 한 잔에 52kcal인 자판기 커피를 하루 2잔씩 먹던 사람이 이를 1년만 안 먹으면 5kg 빠진다고 한다. 그는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다이어트 밥그릇’이다. 밥그릇의 바닥만 올려 통상 210g 들어가던 것을 150g만 들어가게 했다. 눈에 보이는 그릇 크기는 그대로인데 밥이 30%가 적게 담기는 것이다.

장 교수는 “밥 먹는 환경이 식사량 결정의 중요한 변수”라며 “한국은 밥 한 그릇을 다 먹어야 식사가 끝났다고 생각하는 문화권이라는 데서 착안했다”라고 설명했다. 한국인은 배가 부르다고 느꼈을 때보다 밥 한 그릇을 다 비웠다는 걸 시각적으로 확인했을 때 비로소 숟가락을 놓는 습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런 밥그릇을 쓴다고 덜 먹어 살을 뺄 수 있을까. 그는 과학적인 실험까지 마치고 그 결과를 학회에 보고했다. 그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점심때 일반 밥그릇과 다이어트 밥그릇으로 식사를 하게 한 뒤 포만감과 저녁때 먹는 양을 비교했다. 그랬더니 다이어트 밥그릇으로 먹어도 포만감과 저녁 식사량에선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릇 하나 바꾼 것으로 결과적으로 먹는 양을 줄이게 된 것이다.

그는 이를 두고 ‘심리적인 착시 효과’라고 설명했다. ‘한국인은 위가 아닌 눈으로 밥을 먹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도 했다. 이 결과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에 발표됐다. 디자인 등록도 했다.

장 교수는 이런 다이어트 밥그릇을 이왕이면 한국의 멋이 우러나는 백자로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백자의 대가인 김익영 국민대 조형대학 명예교수에게 디자인을 의뢰했다. 그래서 나온 작품을 지난달 동덕디자인센터에서 첫 선을 뵌 데 이어 이달에는 경기도 용인의 한국 미술관(031-283-6418)에서 27일까지 전시회를 열고 있다. 대중에게 더욱 쉽게 다이어트 정보를 알리기 위해 그가 그려온 만화 30여 점도 함께 전시한다.

그는 “이왕에 하는 다이어트라면 즐겁고 우아하게 하는 게 좋다는 생각에서 백자 다이어트 그릇을 고안하게 됐다”며 “이는 과학과 예술의 만남이기도 하다”라고 자평했다.

채인택 기자

[J-HOT사회] "집회 허가되지 않으면 10만군중 거리로"

[J-HOT사회] "휘발유 1L로 23km 달려 1등 했어요"

[J-HOT사회] 자살소동 20대 말리던 경찰 손 잡고 투신, 둘다…

[J-HOT사회] "필리핀서 60대 女재력가 피살, 딸이 살인청부 부탁"

[J-HOT사회] KBS 새 이사장 선임, 정연주 사장 퇴진하나

[J-HOT사회] "먹는것이 하늘" 고작 먹는데 목숨건 사람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