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시진핑 초청에 16~17일 국빈 방문..."시급한 국제 문제 논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10월 17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일대일로 정상회담에 참석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환담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해 10월 17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일대일로 정상회담에 참석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환담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오는 16~17일(현지시간)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 푸틴 대통령이 5선 임기를 시작한 후 첫 해외 순방이다.

14일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밝히면서 “시진핑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중·러 수교 75주년을 맞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과 공동 관심사인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크렘린궁도 이날 푸틴 대통령이 시 주석의 초청으로 중국 베이징, 하얼빈 2개 도시를 방문한다며 시 주석과 “포괄적 파트너십과 전략적 협력 문제, 러-중 실질 협력의 추가 발전을 위한 핵심 분야를 파악하고, 가장 시급한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국 정상은 회담 후 공동 성명에 서명할 계획이다.

푸틴 대통령은 리창(李强) 국무원 총리도 만나 무역, 경제 및 인도주의 분야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다. 하얼빈시에선 러·중 엑스포 개막식과 러·중 지역 간 협력 포럼에 참석하고, 하얼빈공업대학(HIT) 학생들과 만난다. 러·중 수교 75주년과 러·중 문화의 해 개막을 기념하는 갈라 이벤트에도 참석한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5선 후 첫 해외 방문지로 중국을 택한 데 대해 “지난해 시 주석의 방문에 대한 호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3월 3연임 임기 시작 후 첫 해외 방문지로 러시아를 국빈 방문했다.

러시아, 중국 경제·외교 의존도 커져

푸틴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지난해 10월 중국 일대일로 정상포럼 참석 후 7개월 만이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의 중국에 대한 경제, 외교 의존도는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미 당국은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용으로 전용될 수 있는 공작기계 등 상품 수출을 꾸준히 늘린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중국은 그간 러시아에 무기를 직접 지원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이었다.

이번 방중으로 서로 나눌 ‘선물 보따리’에도 관심이 쏠린다. 러시아에선 수출이 중단된 유럽행 천연가스 물량이 중국으로 갈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에게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최근 제안한 파리 하계 올림픽 기간 휴전을 요청할지도 관심사다.

중·러 가스관 연결 계획.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중·러 가스관 연결 계획.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