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의사 집단행동에…간호사·병원직원 ‘무급휴가’ 압박 커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전공의 집단사직에 이어 의대 교수까지 단축 근무에 들어가면서 주요 대학병원에서는 남은 직원들의 희생이 커지고 있다. 이들 병원은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했고, 직원 무급휴가 등을 시작했다. 노조는 “경영상 어려움을 노동자에게 전가한다”고 반발했다.

‘빅5’ 병원 중 지난달 중순 가장 먼저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간 연세의료원(세브란스병원 등)과 서울아산병원 상황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두 병원은 간호사 등 직원에게 무급휴가 신청을 받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직원 무급휴가 기간을 최대 한 달에서 100일까지 늘리기로 했다.

직원들은 당장 생계를 걱정한다. 이경민 보건의료노조 서울아산병원 지부장은 “무급휴가를 100일로 늘렸으니까, 그다음은 무급휴직을 언급할 게 뻔하다”며 “휴직은 몇 개월 가야 할 텐데 그동안의 생계를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권미경 세브란스병원노조 위원장은 “병원 측은 무급휴가가 자율이라고 하지만, 중간관리자는 면담에서 무언의 압박을 한다”며 “이런 압박을 받고 싶지 않아 무급휴가를 선택하는 이들이 많다”고 전했다. 노조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에선 현재까지 2000명 정도가 무급휴가를 갔다.

관련기사

보건의료노조·의료연대본부는 “병원 노동자들의 임금을 깎아 의사 집단행동에 따른 병원 손실을 충당하려 한다”고 반발했다. 19개 수련병원 노조는 지난 1일 합동 기자회견에서 “각 의료기관은 병원 노동자에게 고통 ‘분담’을 가장한 고통 ‘전가’를 하지 말고 노사 합의를 거쳐 비상사태 극복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직원들의 가장 큰 불만은 병원 경영진이 의료진 이탈을 막으려는 노력 없이 비상경영에 나선 점이다. 서울아산병원 이경민 지부장은 “전공의·교수를 빨리 설득해 돌아오게 하는 게 병원의 역할인데, 나 몰라라 한다”고 토로했다. 세브란스병원 권미경 위원장은 “비상경영이라면 문제 해결을 위해 최대한 노력한 다음,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선언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사태가 길어지면서 병원 경영 상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상급종합병원장들은 3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나 경영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실효성 있는 재정 지원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다고 한다. 현재 정부는 중증·응급환자 중심의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해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월 이후 예비비(1285억원), 건강보험 재정(3764억원) 등 5000억원 넘게 투입했고, 지난달 28일 월 1882억원의 건강보험 재정 투입을 한 차례 연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