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임금 삭감’ 논란 불붙인 구글…거주지 따라 차등키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구글 본사건물에 부착된 구글 로고. [AP=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구글 본사건물에 부착된 구글 로고. [AP=연합뉴스]

1만명 넘는 구글 직원들이 원격 근무 시 임금 삭감에 동의했다. 코로나19 확산이 이어지면서 사무실 근무를 원치 않는 직원들에게 원격 근무를 허가하는 대신, 근무 지역 물가에 맞춘 ‘맞춤 임금’을 지급하겠다는 구글의 새로운 정책을 직원들이 받아들인 결과다. 교외 지역에서 거주하면 생활비가 덜 드는 만큼 임금을 덜 줘도 된다는 논리인데, 형평성 문제와 성별 임금 격차 확대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구글 직원 1만명 ‘원격근무시 임금삭감’에 동의

12일 CBS뉴스 등 외신은 “지난 6월부터 구글 직원 13만5000명 중 1만명 이상이 코로나19가 가라앉으면 원격으로 근무하거나 다른 사무실로 이전하는 것을 허가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이 중 85%를 승인했다. 원격근무나 근무지 이전을 신청한 이들 직원은 현지 생활비를 고려한 임금 삭감을 받아들여야 한다.

구글은 직원 개인의 능력뿐만 아니라 국가 등 근무지에 따라 급여를 책정한다는 방침이다. 구글 대변인은 “구글의 보상은 지역에 따라 결정된다”며 “우리는 항상 직원이 근무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임금을 지급한다”고 말했다.

구글은 효율적인 지역별 임금 차등을 결정하기 위해 ‘직장 위치 도구’도 개발했다. 직원들이 근무지를 옮기거나 원격 근무를 선택했을 때 어떤 도시나 주에서 근무하는지에 따라 효율적으로 임금을 책정하기 위한 장치라는 게 구글 측 설명이다.

다만 구글은 원격근무나 근무지 이전 신청 가운데 특수장비에 접근하거나 정기적인 대면 업무가 필요한 15% 직원들에 대해서는 승인을 거부했다.

구글은 최근 전염성이 높은 델타 변이 확산이 이어지면서 사무실 복귀 기한을 당초 9월에서 10월 중순까지로 연기하고 재택근무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구글 이외 미국 내 다른 대기업들도 근무지역에 따른 차등 임금 지급을 검토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CEO 제임스 고먼은 최근 한 행사에 참석해 “뉴욕 급여를 받고 싶다면 뉴욕에서 일하라”며 생활비가 줄어들면 급여를 줄여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