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감염률 15%…울산은 60% 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기존 코로나19보다 전파력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진 주요 3종 변이(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브라질 변이)에 감염된 이들이 누적 1500명으로 추산된다고 당국이 밝혔다. 특히 울산에서는 최근 확진자 10명 중 6명꼴로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전파력 강해 코로나 확산 변수로

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주요 3종 변이 감염자가 97명 추가됐다. 누적 변이 감염자는 632명으로 늘었다. 영국 변이 551명, 남아공 변이 71명, 브라질 변이 10명으로 대다수인 90%에서 영국 변이가 검출됐다. 영국 변이에 대해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전파력이 많게는 50%까지 올라간다는 연구가 있다”며 “그럼에도 백신 효과는 유효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실험실에서 유전자 전장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우 외에도 역학적으로 연관된 사례 867명까지 합하면 국내 주요 3종 변이 감염자는 1499명이라고 당국은 밝혔다. 캘리포니아 변이(416명), 인도 변이(33명) 등 기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 473명까지 포함하면 국내 변이 감염자는 1972명에 달한다.

관련기사

당국은 변이 감시를 위해 최근 유전자 분석을 확대해 왔다. 방대본에 따르면 해외에선 보통 확진자 대비 5% 정도를 분석하지만, 한국은 지난주 기준 14.4%(국내 13.5%, 입국자 34.2%)를 분석했다. 검출률은 14.8%로, 10명 중 1명꼴로 변이가 검출되고 있다.

변이 누적 감염자 1972명 … 당국 “백신 효과는 유효”

특히 최근 울산 지역에 비상이 걸렸다. 당국이 최근 6주간 울산 지역의 확진자 80명을 분석한 결과 51명에게서 영국 변이가 확인돼 변이 검출률이 63.8%를 기록했다. 더 우려스러운 건 울산의 변이 확산은 해외 유입 사례와 관련 없는 지역사회 감염이라는 점이다. 여태익 울산광역시 시민건강과장은 “지난 2월 지역에서 변이 바이러스 검출이 처음 확인된 ‘부산 장례식장-울산 골프연습장’ 집단감염을 시작으로 확산됐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0시 기준 국내 집단발병 사례 중 변이 감염이 확인된 경우는 총 50건인데, 이 가운데 울산 지역 사례가 11건이다. 박영준 팀장은 “숨은 감염자나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인 사례가 누적되면서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바이러스는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변이를 일으키는데, 전파가 빠른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는 건 당연한 현상”이라며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그나마 잘 막아온 편이지만, 울산을 시작으로 영국 변이가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당국은 현재 울산 지역에 대해 ▶해외입국자 관리 ▶바이러스 감시 ▶접촉자 관리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강화 조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상반기까지 1300만 명에게 백신을 접종하겠다는 정부의 새 계획에 따라 6월까지 남은 두 달간 950만여 명에게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데 과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누적 1차 접종자는 346만6908명이다. 상반기 1300만 명 목표에 맞추려면 남은 57일 동안 953만3000명가량에게 접종해야 한다. 단순 계산하면 하루 약 17만 명꼴로 주사를 놔야 한단 얘기다.

특히 이달 말까지는 1차 접종이 더디게 진행되고, 다음 달부터 속도가 붙기 시작해 대규모 인원이 집중적으로 접종하는 건 6월 한 달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접종 인원이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쏠릴 경우 자칫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이상 반응 신고 등이 몰리면서 혼란이 더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얘기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예진 의사, 주사 놔줄 간호사는 충분할지, 응급구조 시스템은 잘돼 있는지, 응급환자가 한 번에 3명 생기면 어떻게 할지, 관찰실이 꽉 찼을 때는 거리두기도 없어지는데 어떻게 할지 등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최악의 수를 설정하고 거기에 맞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수연·이우림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