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캐럴라인 케네디에 "한국인과 우린 많이 닮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가 부통령 시절인 2013년 12월 손녀 피네건과 방한해 판문점을 방문했다.[로이터=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가 부통령 시절인 2013년 12월 손녀 피네건과 방한해 판문점을 방문했다.[로이터=연합뉴스]

“내가 지켜 본 바이든 전 부통령은 가족과 인간관계에 정성을 다하는 따뜻한 성품을 가진 사람입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2기(2013~2016년) 동안 주미대사를 지낸 안호영 북한대학교 총장은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의 인품을 보여주는 두 개의 일화를 소개했다. 2015년 10월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워싱턴을 방문한 기간 바이든 부통령은 “2013년 11월 손녀 페니건과 함께 방한했을 때의 환대를 기억한다. 꼭 점심식사를 모시겠다”고 강력하게 요청했다.

안호영 전 주미대사(2013~17) '내가 본 바이든' #"아일랜드계와 한국인, 가족·사람 중시 공통점" #케네디이후 60년만 아일랜드계 카톨릭 대통령 #한·중 방공식별구역 분쟁 때도 한국 입장 지지

바이든은 당시 워싱턴 DC 해군천문대(USNO)에 소재한 유서 깊은 부통령 관저에서 박 대통령을 주빈으로 한 오찬을 대접하며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손님을 집에 초청하면 왕처럼 느끼도록 최선을 다하라는 이야기를 들어왔다”고 했다. 안 대사는 실제로 그가 주인으로서 정성을 다 해 대접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회고했다.

안호영 북한대학교 총장(2013~2017년 주미대사). 임현동 기자

안호영 북한대학교 총장(2013~2017년 주미대사). 임현동 기자

바이든의 아버지 조지프 바이든 시니어는 중고 자동차 세일즈맨으로 성공했다. 바이든이 “나는 수천세대 동안 대학을 졸업한 첫 번째 바이든”이라고 할 정도다. 바이든이 최종적으로 대통령에 당선하면 아일랜드계 가톨릭으론 존 F. 케네디 이후 60년만, 아일랜드계로는 로널드 레이건 이후 40년 만 미국 대통령이 된다. 바이든도 사람을 최우선으로 하는 아일랜드계 전통이 몸에 밴 셈이다.

바이든은 이듬해 3월 다시 워싱턴에서 개최된 핵 안보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ㆍ미ㆍ일 3국 정상회의가 열렸을 때 미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오바마 대통령 곁에 앉았다. 바이든은 회의 중간 휴식시간 안 대사가 지난번 박 대통령 오찬 초대에 대한 감사 인사와 더불어 “가족과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게 아이리시와 한국인의 공통점”이라고 하자 너무 좋아했다고 한다.

마침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의 딸인 캐럴라인 케네디 당시 주일 미국대사가 가까이에 서 있는 것을 보고는 마치 가족을 대하듯 이름을 부르면서 박 대통령의 지난 방미 때 이야기와 안 대사와 대화 내용을 전하며 “한국인과 우리가 공통점이 많은 것은 사실인 것 같다”고 얘기하기도 했다.

안 전 대사는 바이든이 부통령 시절 “한국과 중국이 방공식별구역(KADIZ)을 놓고 다툴 때 한국의 입장을 지지하며 중국에 강경한 태도를 취했다”며 “바이든이 트럼프보다 중국에 유화적일 것이란 시각엔 동의하지 않는다”라고도 말했다. 2013년 12월 손녀 피네건과 방한했을 때 마침 중국이 방공식별구역 선포하자 한국도 KADIZ 구역을 확대하면서 정면 대응할 때 한국 입장을 지지했다고 한다.

안 전 대사는 오바마 정부의 북핵 정책을 ‘전략적 인내’라고 하는 일부 시각에 대해서도 “공정하지 않은 평가”라고 잘라 말했다. 오바마 정부 8년간 중동에서 아시아로 외교 중심축을 옮겼고 취임 초부터 북핵 해결에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하면서다.

안 전 대사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오바마 행정부 때  석탄ㆍ철광석ㆍ석유 등 ‘부문별 제재’를 처음 도입하는 가장 강력한 대북 안보리 제재를 통과시켰다”며 “사실 북핵 해결을 위해 최대한 압박이 시작된 것은 오바마 행정부 때였다”라고 설명했다.

바이든이 당선될 경우 외교·안보 분야에 중용될 것으로 거론되는 대부분 인사가 북핵 문제에 깊은 식견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일례로 대선후보 외교정책 보좌관인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이 2016년 초 취임해 방문한 첫 번째 나라가 한국이었다. 블링컨은 재임 중 북핵 해결을 위해 한ㆍ미 전략회의도 신설해 매년 수차례씩 방한하며 북핵을 우선순위에 두기도 했다.

정효식 기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