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 위해 세계가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

중앙일보

입력

제55회 국무회의가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제55회 국무회의가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탄소중립’은 기후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세계가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제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문 대통령은 유럽연합(EU), 중국, 일본이 탄소중립을 선언한 사례를 거론하며 “우리도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이 같은 세계적 흐름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도 “국제사회와 함께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라면서도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피할 수 없는 일이라면 규제에 이끌려 가기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과감히 도전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탄소중립은 우리 경제의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과제”라며 “EU 등 주요 국가들은 환경 규제와 장벽을 더욱 높이고 있어 이를 뛰어넘으려면 기업들도 친환경·저탄소 경제로 가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55회 국무회의가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제55회 국무회의가 3일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에게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를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전환 로드맵을 정교하게 가다듬으면서 온실가스 감축 계획도 재점검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에너지 투입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재사용을 최대화하는 순환 경제로의 대전환을 힘있게 추진하면서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기업과 노동자 보호대책에도 만전을 기해 주기 바란다”고 했다.

국제사회는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 구상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지난 28일 문 대통령의 시정연설 뒤 성명을 내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50년까지 한국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선언에 매우 고무됐다”고 밝혔다.

반면 산업계는 탄소중립 정책에 따른 기업 부담을 걱정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119개 기업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추진할 경우 가장 큰 부담이 무엇이냐’는 질문한 결과, 72.9% 기업이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기업 부담 증가’이라고 답했다고 지난 28일 발표했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