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DMZ 멧돼지 사체서 돼지열병 바이러스…힘받는 북한 유입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된 멧돼지 폐사체. 죽은 지 오래되지 않아 거의 부패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였다. [사진 환경부]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된 멧돼지 폐사체. 죽은 지 오래되지 않아 거의 부패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였다. [사진 환경부]

경기도 연천군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 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환경부가 3일 밝혔다. 지난 2일 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곳은 DMZ 중간을 잇는 군사분계선에서 남쪽으로 약 600m(남방한계선 전방 약 1.4㎞) 떨어진 지점이다.

군사분계선 남쪽 600m서 발견 #국내 멧돼지서 확인된 건 처음 #김포선 13번째 돼지열병 확진

국내 야생 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금까지 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돼지는 모두 양돈농장에서 키우는 사육돈이었다.

환경부에 따르면 멧돼지 폐사체는 외관상 다른 동물에 의한 손상은 없었고 죽은 지 오래지 않아 부패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상태였다. 환경부 관계자는 “해당 지역 군부대가 발견해 연천군에 신고했고 야생 멧돼지 ASF 표준행동지침에 따라 안전하게 시료를 채취한 후 국립환경과학원으로 이송해 진단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야생 멧돼지가 북한에서 넘어와 ASF 바이러스를 퍼트린 것 아니냐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지난 2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철조망이 100% 안전하다고 했지만 확인해보니 철조망이 태풍과 집중호우 때문에 많이 무너진 상태였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간 9개 사단 13개소에서 남방한계선 경계부대(GOP) 철책이 파손됐고 현재 보강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5건으로 확인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현황.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현황.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관련기사

환경부는 멧돼지 폐사체 등이 임진강을 통해 떠내려올 가능성에 대비해 하천수 바이러스 조사, 보트를 이용한 부유 폐사체 및 하천변 정밀조사 등 예찰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살아있는 멧돼지가 강과 바다를 헤엄쳐 건너올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

3일 오전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의 한 돼지 농장에선 국내에서 13번째로 ASF 확진 판정이 나왔다. 지난달 23일에 이어 김포에서 두 번째 사례다.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의 한 돼지 농장에서 들어온 ASF 의심 신고도 이날 확진으로 판정됐다.

지난달 27일 인천시 강화군을 마지막으로 소강상태를 보이던 ASF가 이달 들어 2~3일 이틀간 경기도 파주· 김포에서 총 4건이 추가 확진되면서 방역 당국은 일제 소독 등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파주는 지난달 17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ASF가 확진된 곳이다. 파주에선 2~3일 파평·적성면과 문산읍 농장까지 연달아 3곳이 확진되면서 총 5곳에 ASF 확진 판정이 내려졌다.

천권필·심석용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