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교통사고 피해액 따지니, '근로자 100만명' 연봉 40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17년 한해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모두 114만여 건에 달한다. [연합뉴스]

2017년 한해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모두 114만여 건에 달한다. [연합뉴스]

'40조 574억원.' 

 2017년 한해 국내의 각종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인한 물리적·정신적 피해액을 한국교통연구원이 추정한 액수다.

[숫자로 본 도로교통사고 피해] #2017년 114만 건, 4185명 사망, 180만 명 부상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국내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약 4100만원이었다. 도로교통사고 피해액을 여기에 적용하면 무려 근로자 1백만명의 연봉과 맞먹는 수치다.

 2017년 도로교통사고는 모두 114만 3175건이 발생해 4185명이 목숨을 잃었다. 또 180만명가량이 다쳤다.

 평균 연봉 4100만원, 100만명 분 해당 

 이로 인한 피해를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숨지거나 다친 사람의 물리적 손실비용은 약 21조 1797억원으로 추정됐다.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생긴 생산손실과 의료비, 그리고 차량 등 여러 물적 피해를 고려한 액수다.

 또 사고로 인한 사상자의 정신적 고통 비용(PGS: Pain, Grief & Suffering)은 약 18조 8777억원으로 계산됐다. PGS 비용은 교통사고 피해자와 가족이 겪는 물질적·정신적 피해비용을 의미한다.

 2017년 도로교통사고 손실액을 그해의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하면 2.3%에 해당한다. 이 같은 도로교통사고 비용은 전년도인 2016년과 비교하면 0.4%가량 줄었다. 2016년도 도로교통사고비용은 약 40조 2233억원이었다.

 피해액이 조금이나마 감소한 것은 사망자와 부상자가 각각 107명과 4만 3600여명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미국, 일본, 영국보다 GDP 비중 커  

 하지만 GDP 대비 도로교통사고 비용은 여전히 우리나라가 주요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교통연구원에 따르면 기준연도가 다르지만 미국은 1.85%(2010년 기준), 일본 1.35%(2009년), 영국 1.86%(2016년 기준) 등으로 우리보다 낮다.

GDP 대비 도로교통사고 비용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다. [서울 광진소방서 제공]

GDP 대비 도로교통사고 비용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다. [서울 광진소방서 제공]

 2017년 도로교통사고 비용을 지역별로 따져보면 17개 시·도 가운데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경기도였다. 총 27만 8000여건의 사고가 일어났다. 이어 서울(20만 4000여건), 부산( 6만 7800여건) 등의 순이었다.

 경기도는 사고피해 총액에서도 약 7조 2000억원으로 1위였다. 서울이 약 4조 8000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경남(약 2조 2000억원), 경북 (약 2조원)도 2조원을 넘어섰다.

 경기, 사고 건수와 피해액 모두 1위 

 또 인구 1인당 도로교통사고 비용은 충남이 약 8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약 78만원), 경북(약 76만원) 순이었고 세종이 42만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도로교통사고 가운데 화물차로 인한 피해도 적지 않다. [연합뉴스]

국내 도로교통사고 가운데 화물차로 인한 피해도 적지 않다. [연합뉴스]

 이번 연구를 담당한 교통연구원의 심재익 연구위원은 "교통사고는 인적 요인 외에도 차량·환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정부가 제시한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소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안전체계 구축과 더불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학술연구, 예산지원, 제도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한편 이번 추정액은 앞서 도로교통공단이 올해 초 추정한 2017년 교통사고 손실액인 23조 6805억원과는 차이가 크다. 약 16조 3800억원가량이 많다.

 이러한 차이는 피해액 추정에서 고려하는 항목이 다르기 때문이다. 도로교통공단은 사고 당사자가 직접 입은 손실(인적, 물적 피해)에 경찰·119의 사고 긴급구호와 사고조사 비용, 손해배상 대행 기관의 교통사고 처리 비용 등 공공적 지출만 감안해 손실액을 따졌다.

 그래서 정신적 고통 비용 등을 포함한 교통연구원의 추정 피해액과 차이가 크게 난다는 설명이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