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주 투자 땐 지라시 봐라? 민희진 ‘맞다이’가 까발린 민낯 [엔터주 투자-K팝]

  • 카드 발행 일시2024.05.08

머니랩

1조1871억원. 지난달 마지막 7거래일 동안 증발한 국내 최대 K팝 기획사 ‘하이브’의 시가총액이다. 대중은 하이브 자회사 ‘어도어’ 민희진 대표의 ‘역대급’ 기자회견에 큰 흥미를 보였지만 투자자의 속은 타들어 갔다. “다시는 엔터주에 투자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개미 투자자들도 많다.

민희진 어도어 대표가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국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희진 어도어 대표가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국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게 처음 겪는 일도 아니다. 지난 2월 SM엔터테인먼트 걸그룹 에스파 멤버의 열애설이 터졌을 때도 SM 시가총액이 700억원 가까이 증발했다. 2022년 방탄소년단(BTS)의 팀 활동 잠정 중단 발표 다음 날 하이브 주가는 25% 빠졌다. 이 밖에 소속 가수의 음주운전, 마약 범죄 연루, 재계약 불발 등의 크고 작은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소속사 주가는 널뛰기를 반복했다.

뉴진스 ‘버블 검’ 뮤직비디오. 사진 어도어

뉴진스 ‘버블 검’ 뮤직비디오. 사진 어도어

한국의 대형 K팝 엔터사의 위상은 20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다. 주요 가수들이 미국 빌보드 차트에 이름을 올리고, 세계적인 팬덤(팬 집단)을 이루며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앞다퉈 간판 모델로 삼고 있다. K팝이 성장 산업이자 투자 대상으로 인정받는 배경이다.

일반적으로 자회사 대표가 지주사 의장과 마찰을 빚는다고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걱정하는 투자자는 없다. 자회사 대표는 대체하면 그만이다. 하지만 아이돌 그룹을 만들어 내는 레이블(음반사) 대표라면 상황이 조금 다르다.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걸그룹 뉴진스(어도어 지난해 매출 1102억원)의 ‘엄마’로 불리는 민희진이 빠질 경우 당장의 하이브 실적뿐 아니라 미래 성장 동력에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이런 내용을 담았어요

맞다이(맞상대)로 들어와! (4월25일 기자회견 중 민희진 대표 발언)

걸그룹 뉴진스의 소속사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와 모회사 하이브 경영진 갈등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지만, 엔터업종 주가는 일제히 흔들리고 있다. 툭 하면 머리기사를 장식하는 사건·사고에 투자자도 울상이다.
갈등이 봉합되고 사태가 진정되면 주가는 반등할 수 있을까. 성장산업으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엔터주 투자를 고려한다면 우선 엔터산업의 본질을 이해해야 한다.
머니랩이 제조업·서비스업과는 차별화하는 엔터산업만의 리스크를 집중 분석했다. 1회는 K팝 산업, 2회는 제작사·미디어기업을 포함한 콘텐트 기업을 다뤘다.

📍Point 1 엔터주 ‘인적 리스크’의 정체 
-‘민희진 사태’가 하이브 주가 흔드는 이유
- BTS 아닌 방시혁 보고 투자하라?

📍Point 2 여론전 불가피한 환경
-경영진도 눈치보는 K팝 팬덤의 위력

📍Point 3 멀티레이블 체제의 명과 암 
-BTS 의존도 줄이니 늘어난 내부 갈등
-민희진이 주장한 콘셉트 베끼기란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이렇게 엔터주는 예측하기 어려운 ‘인재(人災)’가 주가를 흔드는 경우가 잦다는 게 큰 리스크다. 엔터주에 투자하면 경제 뉴스가 아닌 연예계 ‘지라시’부터 챙겨야 한다는 말까지 있다. 그렇다고 관심을 끊어 버리기엔 엔터산업의 성장성은 꽤 탐나는 투자 요인이다. 지난 10년간 JYP 주가는 20배, SM 주가는 10배 뛰었다. 걸그룹 피프티피프티만 해도 소속사와 계약 문제로 분쟁을 벌이기 전까지 ‘중소돌(중소 연예기획사의 아이돌)의 기적’으로 불렸다. 과연 K팝 산업의 가치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하이브(7일 종가 기준 20만4500원),  SM(8만6000원), JYP(7만원), YG(4만4450원) 등 엔터주의 현재 가격은 적정하다고 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