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업승계 힘드시죠, 컨설팅 뛰어든 증권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부산에서 30년 넘게 요트 회사에 돛을 납품해온 A사의 김모(65) 대표는 요즘 고민이 많다. 평생을 사업에만 몰두하다 보니 가업승계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못해서다. 그러다 회사가 거래하던 증권사에서 가업승계 컨설팅을 받고 나서 생각이 달라졌다. 김 대표는 “증권사에서 재무 상황을 꼼꼼하게 분석한 뒤 가업상속 공제와 지분 증여 등의 승계 전략을 제시했다”며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두려움이 조금은 사라졌다”고 말했다.

기업공개·M&A 경험 강점 내세워 #상속 전략 짜고 후계자 교육까지

최근 가업승계 컨설팅을 둘러싸고 은행·증권사 등 금융권의 경쟁이 뜨겁다. 그동안 은행 프라이빗뱅킹(PB)센터 위주였던 관련 시장에 증권사들이 본격적인 도전장을 내밀면서다. 증권사들은 기업공개(IPO)와 인수합병(M&A) 등 기업금융(IB) 서비스에 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하다는 것을 강점을 내세운다.

2013년부터 가업승계 서비스를 선보인 삼성증권은 지난 4월 업계 최초로 가업승계연구소를 세웠다. 가업승계와 관련한 상담은 물론 상속·증여 컨설팅에서 승계 대상인 후계자 교육까지 전 과정을 관리한다. 세무사·변호사와 투자은행(IB) 전문가 등 20여 명으로 구성된 전담 조직이 기업인들의 상담을 맡는다. 후계자가 차질없이 가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넥스트 CEO(최고경영자)’ 포럼도 운영한다. 기업 경영이나 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쌓는 후계자 수업인 셈이다. 박경희 삼성증권 SNI본부장은 “기업인들 중엔 가업승계에 관심은 많지만 막연한 불안감으로 승계 시기를 뒤로 미루는 경우가 많다”며 “단순한 부의 대물림이 아니라 기업의 영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기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올해 초부터 중견·중소기업 대상으로 가업승계 컨설팅 보고서를 제공하고 있다. 한번 상담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기업의 재무상황을 꼼꼼하게 분석한 뒤 맞춤형 가업승계 전략을 짜주는 서비스다.

기업인이 가업승계 과정에서 가장 고민하는 부분은 상속·증여세 등 세금 부담이다. 지난해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500곳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열 명 중 일곱 명꼴(69.8%)이 세금 문제를 꼽았다. 한국의 상속세율은 최대 50%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일본(55%) 다음으로 높다. 세무 전문가들은 “가업승계 계획은 하루라도 빨리 짜는 게 좋다”고 입을 모은다. 적어도 10년을 내다보고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효율적인 절세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금융회사와 대형 회계법인이 손잡는 경우도 잇따른다. 삼성증권은 최근 삼일·삼정회계법인과 업무 제휴를 맺었다. NH투자증권도 지난 4월 삼정KPMG와 손을 잡았다. 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관리해야 세금을 줄일 수 있는데 이런 부분에서 회계법인의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박 본부장은 “연 매출이 3000억원 미만이면 가업상속 공제를 활용하는 게 가업승계의 기본 전략”이라고 말했다. 자격 요건은 까다롭지만 CEO의 경영 기간에 따라 최대 500억원까지 상속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