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진드기·쥐 매개 감염병 ‘급증’ 조심…특히 집중호우 이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왼쪽부터 활순털진드기, 대잎털진드기. [사진 질병관리본부]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왼쪽부터 활순털진드기, 대잎털진드기. [사진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는 가을철에 주로 발생이 증가하는 진드기ㆍ설치류 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농작업이나 야외활동 시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5일 당부했다. 질본은 가을철엔 진드기 매개감염병 중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과 쥐 등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열성 감염병이 급증할 수 있다고 밝혔다.

5일 질본에 따르면 쯔쯔가무시증은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가을철에 발생한다. 지난해에는 1만528명의 환자가 보고됐고 올해는 지난달까지 1364명이 발생해 이 가운데 8명이 사망했다. 이 감염병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릴 때 발생하는데 고열, 오한, 근육통, 복통, 인후염, 가피, 발진 등이 주요 증상이다. 야외활동 후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거나 가피(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SFTS 환자도 가을에 증가한다. 올해 151명의 환자가 나왔고 28명이 사망해 치사율은 18.5%에 달했다. 집중호우 이후 복구작업, 농작업, 벌초, 성묘 등을 할 때 진드기에 물렸는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진드기가 보이면 몸에서 완전히 제거한 후 소독을 해야 한다. 고열과 구토, 설사, 복통, 메스꺼움 등 소화기 증상이 생기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야 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야외에서는 긴 소매 상의와 긴바지를 착용하고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고, 야외활동 후에는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왼쪽).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암컷, 수컷, 약충, 유충 순서대로 1㎜ 눈금자 위에 올려져 있다. 오른쪽 사진은 진드기 채집기에 붙어 있는 참진드기. [사진 질별관리본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왼쪽).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암컷, 수컷, 약충, 유충 순서대로 1㎜ 눈금자 위에 올려져 있다. 오른쪽 사진은 진드기 채집기에 붙어 있는 참진드기. [사진 질별관리본부]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인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도 주로 가을에 발생한다.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노출될 때 발생하고 고열과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증후군출혈열은 한탄ㆍ서울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가 배출한 분변, 오줌, 타액이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면서 발생하는데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출혈소견, 소변량 감소 등이 주요 증상이다.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 환자도 매년 증가세로, 올해 기준으로 지난달까지 발생한 환자는 각각 59명, 253명이다.

본부는 집중호우와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오염된 물로 인해 설치류 매개 감염병 발생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고인 물 등에서 작업할 때는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장화, 장갑, 작업복 등을 착용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보건소 등을 통해 배포하는 ‘가을철 발열성 질환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발열 등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