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책으로 경기회복 기대' …500대 기업중 1곳도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채용 줄인다"가 "늘린다" 보다 많아…"정부 정책으로 경기회복 기대"는 '0%'

대기업 절반 정도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해 신입ㆍ경력사원을 채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채용 규모를 늘리겠다는 기업보다 줄이겠다는 기업이 더 많아 하반기 고용시장 상황도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한경연 '2018년 주요 대기업 신규채용 계획'

자료: 한경연 '2018년 주요 대기업 신규채용 계획'

한국경제연구원이 국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2일 발표한 ‘2018년 주요 대기업 신규채용 계획’ 결과에 따르면, 조사 참여 기업 122개 중 51.6%가 “올해 신규채용(신입·경력) 규모가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뒤이어 “지난해보다 채용 규모가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곳이 24.6%였고, “증가할 것”이라고 답한 곳은 23.8%로 가장 적었다.

한경연, 500대 대기업 채용 계획 조사 #응답 기업 51.6%는 "지난해와 비슷" #'채용 증가' 늘었지만 '감소' 더 늘어

조사 결과만 놓고 봤을 때 올해도 여전히 좁은 취업문을 뚫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채용 규모가 증가할 거라고 답한 비율이 지난해보다 1.8%포인트 늘었지만, 채용 규모를 줄이겠다는 곳은 이보다 더 많은 5.5%포인트 늘었다. 지난해엔 ‘비슷할 것’이란 답변이 52.6%, ‘증가’는 22%, ‘감소’는 19.1%였다. 그러나 올해엔 증가와 감소의 수치가 역전됐다. 지난해 조사 당시 ‘모름’이라고 답하거나 무응답한 비율이 높았던 영향도 있지만, 채용을 늘리겠다는 곳보다 줄이겠다는 곳이 오히려 많아진 것은 좋은 신호로 보기 어렵다.

자료: 한경연 '2018년 주요 대기업 신규채용 계획'

자료: 한경연 '2018년 주요 대기업 신규채용 계획'

또한 고졸ㆍ경력 채용을 제외한 대졸 신입 채용만 놓고 봐도 “전년보다 증가할 것”이라고 답한 곳의 비율도 지난해(13.9%)보다 4.9%포인트 늘어난 18.8%를 기록했지만, “전년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곳(23.8%)보다는 적었다. 지난해보다 사정이 조금 나아질 수는 있으나, 아직 채용 규모를 줄이겠다는 곳이 더 많은 탓에 얼어붙은 고용 시장을 녹일 정도는 아니라는 의미다.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답한 기업 중 37.9%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부족한 인력의 충원’을 이유로 꼽았다.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 개선’(31.0%), ‘미래 인재 확보 차원’(24.1%), ‘사회적 기대에 부응’(6.9%)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정부의 경기진작 지원정책 등으로 인해 하반기 경기회복 기대’라고 답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23일 서울 숭실대학교 에서 열린 ‘2018 하반기 인크루트 채용설명회’에서 학생들이 취업 노하우 및 기업별 하반기 채용계획 등에 대한 강사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3일 서울 숭실대학교 에서 열린 ‘2018 하반기 인크루트 채용설명회’에서 학생들이 취업 노하우 및 기업별 하반기 채용계획 등에 대한 강사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신규채용을 줄인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상황 악화’(40.0%)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그다음은 ‘회사 내부 상황 어려움’(33.3%),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 증가’(16.7%),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인해 신규채용 여력 감소’(3.3%) 등 이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기업 관계자는 "채용 규모는 결국 경기를 따라갈 수밖에 없는데, 현재도 상황도 안 좋고 당분간 경기가 좋아질 거라는 신호도 별로 없다"며 "정부가 시도하고 있는 여러 정책도 아직 구체적인 성과가 없어 대부분의 기업이 채용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주요 대기업들은 최근 잇따라 향후 3~5년간 채용을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삼성그룹은 향후 3년간 채용예정 규모를 기존 2만명이었는데 4만명으로 2배 늘리고, SK그룹은 지난해(8200명)보다 규모를 늘려 올해 8500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또 LG그룹 역시 올해 전년 대비 10% 정도 증가한 1만명을 채용하겠다고 발표했고, GS그룹은 지난 3년간 평균 3800명을 채용했지만 향후 5년간은 연평균 4200명 이상을 채용할 계획이다. 한화그룹의 채용 규모는 과거 연간 3∼4000명 수준이었지만 앞으로 5년간은 매년 거의 배에 가까운 7000여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올해 조사한 채용 규모만 보면, 이런 수치가 반영돼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자료: 한경연 &#39;2018년 주요 대기업 신규채용 계획&#39;

자료: 한경연 &#39;2018년 주요 대기업 신규채용 계획&#39;

정조원 한경연 고용창출팀장은 “아직 고용시장이 크게 개선되거나 대기업들의 고용 창출 노력이 눈에 띄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하긴 어렵지만, 지난해와 올해의 조사 결과를 함께 놓고 비교해 봤을 때 조금이나마 상황이 나아질 것이란 기대감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채용형태로는 공개채용보다는 수시채용을 선호하는 대기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대졸 신입사원 채용 때 수시채용을 시행한 기업은 54.1%였고, 이들 기업의 공개채용과 수시채용 비중 평균값은 각각 38.6%, 61.4%였다.

관련기사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