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훈련ㆍ주한미군 논란 관련 “트럼프 설득 시도했지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미국은 결코 (주한 미군을) 감축하지 않는다. 사실, 솔직히 그 문제는 (북ㆍ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美 악시오스, "참모들이 꼭 비용 감축 아니다"고 설득 #하지만 트럼프는 또 “주한미군 빨리 철수시키고 싶다” #그레이엄 의원 “훈련 비용 문제 거론하는 건 터무니 없다”

 이날 방영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다. 이 인터뷰는 지난 12일 북ㆍ미 정상회담 직후 미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 기내에서 이뤄졌다. 여기서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가능하면 빨리 병력을 철수시키고 싶다. (주한 미군을) 집으로 데려오고 싶다”며 “많은 돈,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그 문제가 논의되지 않고 있지만 적절한 시기에 그렇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질문할 기자를 지정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질문할 기자를 지정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번 북ㆍ미 정상회담의 성공 기준에 대해선 “나는 그것(북한의 핵 폐기)이 완료될 경우에만 성공이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어떤 의미로는 이미 매우 역사적인 무언가를 이뤘다. 하지만 성공이란 그것(북한의 핵 폐기)이 완료될 때”라고 설명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선 “우리는 서로를 이해한다. 매우 좋은 관계를 형성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북한의 인권문제 등에 대해 질문하자 “(김 위원장은) 터프 가이다"며 "수많은 다른 사람들도 정말로 나쁜 짓을 저질렀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도 끔찍한 일을 하지 않았느냐는 추가 질문엔 “그렇다”고 답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한ㆍ미 군사훈련 중단’ 발언에 대한 미 조야의 비판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트럼프와 가까운 린지 그레이엄(공화) 상원의원은 CNN에 나와 “협상 중 일시적으로 군사훈련을 중단하는 것은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비용 문제를 언급한 것은 터무니 없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에 병력을 배치하는 것은 납세자들에게 짐을 지우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안정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중국에게 역내 모두를 장악할 수 없다는 경고를 보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12일 싱가포르에 열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두 정상이 악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12일 싱가포르에 열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두 정상이 악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윌리엄 코언 전 국방장관도 CNBC 인터뷰에서 “훈련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긴 하지만 전쟁에 패했을 때의 비용은 훨씬 크다”고 강조했다.

미 인터넷매체인 악시오스는 “(훈련 중단은)단기적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지만 군사적 준비태세와 아시아 내 전투력 약화로 이어져 결국 장기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논란이 커지자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는 북한 비핵화와 관련된 생산적인 대화를 할 기회를 위한 것으로 우리 임무는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만났을 때 훈련 중단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생산적이고 진지한 협상이 진행 중이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덧붙였다.

악시오스는 “주한 미군과 한ㆍ미 연합훈련 관련 논란이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라며 “대통령 참모들이 ‘주한미군이 철수해도 반드시 비용이 절감되진 않는다’고 트럼프를 여러차례 설득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익재 기자 ijcho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