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F-22 스텔스 뜨자···김정은, 평양 비우고 북쪽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달 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 발사 이후  북·중 국경지역 인근에서 현지지도를 이어가고 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6일 김정은이 삼지연(백두산 인근)의 감자가루 공장을 현지지도한 소식을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이 공장은 지난해 11월 김정은이 공장 건설을 지시한 이후 새로 건설됐으며, 연면적 2만 7920여㎡에 연간 4000t의 감자가루·감자 가공품 생산을 위한 건물과 2만t급 감자 저장고 등을 갖췄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양강도 삼지연군에 새로 건설된 감자가루생산공장을 시찰했다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6일 보도했다. 김정은은 지난달 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 발사 이후 북부지역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양강도 삼지연군에 새로 건설된 감자가루생산공장을 시찰했다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6일 보도했다. 김정은은 지난달 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 발사 이후 북부지역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연합뉴스]

김정은은 앞서 지난 3일(보도일 기준)에는 자강도 만포시의 압록강타이어 공장을 현지지도 했다. 그가 북부지방에 머물고 있다는 추정이 가능한 대목이다. 특히 그의 이런 행보는 한·미 공군이 240여대의 항공기를 동원해 지난 4일부터 진행하고 있는 역대급 ‘비질런트 에이스’ 연합훈련 시기와 겹쳐 주목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 지도자들은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거나 F-22 등 미국의 전략 무기들이 한국에 올 경우 공개활동을 중단하며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그가 평양을 비우고 후방지역으로 간 게 이번 훈련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올해 비질런트 에이스 훈련에는 F-22와 F-35등 스텔스 전투기 24대가 참여 중이다. 그래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미국의 군사적 옵션 사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자 유사시 상대적으로 안전한 북·중 국경지역으로 이동했을 수 있다는 얘기다.

화성-15형 쏜 뒤 자강도 만포, 양강도 삼지연 현지지도 #북중 접경 지역 머물고 있는 것으로 관측 #김정일 도발후 잠적한 것과는 다른 패턴 #스텔스기 24대 동원한 한미 연합훈련 의식, #추가 도발 구상 등 다양한 관측 나와 #새로운 삼지연 구상 나올지도 주목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주요 도발 이전 공개활동을 중단한 것과 달리, 김정일 국방위원장(2011년 사망)은 도발 이후 한동안 잠적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료=북한 노동신문 재구성]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주요 도발 이전 공개활동을 중단한 것과 달리, 김정일 국방위원장(2011년 사망)은 도발 이후 한동안 잠적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료=북한 노동신문 재구성]

김정은은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등 주요 도발 전에는 공개활동을 중단한 채 관련 내용들을 챙기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미사일 발사를 앞두고도 지난달 네 차례(미사일 발사장 참관 제외) 현지지도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11차례에 비하면 현저히 줄어든 데다 지난달 현지지도도 트럭 공장 등 미사일과 관련된 것이다. 이런 김정은의 공개활동 패턴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때와 비교되는 모습이다. 김정은이 ‘거사’ 전 잠행한 것과 달리 김정일은 행동 후 자취를 감추는 모양새다. 김정은은 미사일 공장 등에 머물며 준비에 초점을 맞췄다면 김정일은 주변의 반응을 고민한 흔적이다.

실제 김정일은 2003년 초 핵무기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1월 11일)하고,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그해 2월12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하고 나선 모습을 감췄다가 50일 만에 활동을 재개했다. 또 북한이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하루 전인 2006년 7월4일에는 평양 대성타이어공장을 시찰하고 나서 40일간 공개 활동을 중단했다. 또 그해 10월 9일 1차 핵실험을 전후해선 12일 동안 모습을 감췄다. 2006년 10월 9일 1차 핵실험 이후에도 9일 만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정부 당국자는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이후 미국이나 국제사회의 반응을 보면서 향후 대응 방안을 고심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정은의 최근 북부지역 현지지도와 관련해선 미국의 군사적 옵션에 대응하거나 추가 도발을 준비하려는 차원이라는 분석도 있다. 전직 군 고위관계자는 “북한의 자강도와 양강도에는 군수공장들이 밀집해 있다”며 “군수공장을 점검하고, 미국의 군사적 행동에 대비하는 차원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가 고모부 장성택 처형 등 결단을 내리기에 앞서 삼지연을 찾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지연 구상’이 나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현준 우석대 초빙교수는 “김정은은 2013년 11월 삼지연을 찾은 지 10여일 뒤 장성택 부위원장을 처형했고, 지난해 11월 이 곳을 다시 찾아 김일성 주석 일가의 우상화 차원의 삼지연 개발을 지시했다”며 “삼지연 개발 진척 상황을 점검하는 차원일 수도 있지만 새로운 삼지연 구상이 나올 가능성이 있는 만큼 주목해야 할 대목”이라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