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 맡은 두산중공업 한숨 돌려 … 원전 관련주 종일 들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원전 업계와 시공사는 일단 한숨을 돌렸다. 대표적인 곳이 두산중공업이다. 두산중공업은 원자로 등 주요 기자재 공급을 맡은 데다 삼성물산·한화건설과 함께 주 설비 공사도 진행해 공사가 중단되면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공사 중단 1000억 손실금 해결 숙제 #정부 탈원전 정책은 유지될 전망 #원전 업계 장기 사업 방향 손봐야

그러나 이번 발표로 일단 급한 불은 끄게 됐다. 공사도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3개월간 공사가 멈춰 있던 만큼 해결해야 할 숙제도 남았다. 공사 현장을 떠나 있던 인력을 다시 모아야 하고 중단 기간 발생한 손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도 민감한 문제다. 한국수력원자력은 협력사 손실보상 비용이 약 100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협력사와 체결한 계약 조건에 맞춰 피해 보상을 진행할 방침이다. 앞서 한수원은 공론화위로 발생하는 손실 보상 비용을 총 사업비 중 예비비(2782억원)에서 처리하기로 이사회에서 의결했다. 정부에 손실 보상을 위한 추가 예산 청구가 어렵다는 법률적 판단에 따라서다. 정부도 결과와 상관없이 건설 일시 중단에 따른 유지 비용을 보상한다고 밝힌 바 있지만 금액 산정 과정에서 의견 차이가 클 경우 상황이 복잡해질 수 있다. 울산시도 이날 “건설 참여 업체가 본 손실 보상은 물론 지역주민의 직간접 피해도 면밀히 파악해 적절한 보상을 시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더 멀리 내다봤을 때 원전 업계가 갖는 우려 또한 여전히 깊다. 한숨만 돌렸을 뿐 ‘탈원전’이라는 정부의 정책 방향은 그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공론화위도 정부가 장기적으로 원전을 축소해야 한다는 결론을 함께 내놓았다.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와 별도로 신한울원전 3·4호기와 천지원전 1·2호기 등 신규 원전 건설을 백지화하고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다하는 노후 원전 10기도 수명 연장을 금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이날 원전 관련주는 종일 들썩였다. 등락이 심했던 것은 두산중공업이다. 장 초반 전날 대비 하락한 1만8600원에 거래됐지만 공론화위 발표 직후 상황이 급변해 한때 2만2000원까지 올랐다. 그러나 막판에 다시 매도 물량이 몰리며 결국 전날보다 1.3% 내린 1만94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전력이나 한전기술 등 다른 관련주도 비슷했다. 공론화위 발표가 나오기 직전 2.3% 내린 3만9900원에서 거래되던 한국전력은 발표 이후 급등했지만 오후 들어 상승 폭이 줄며 전날보다 0.6% 오른 4만1100원으로 마감했다. 한전기술은 온종일 등락을 반복하다 1.2% 하락 마감했다. 곽지훈 대신증권 연구원은 “에너지 정책에 대한 얘기는 이미 충분히 노출돼 있었으므로 주가는 회복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는 발표 직후 대체로 하락 전환했지만 곧 상승 흐름을 회복했다. 역시 탈원전을 기치로 내건 정부 정책 방향이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란 기대에서다.

윤정민·이새누리 기자yunj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