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최경환 등 핵심 총출동, 친박 재결집 나서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불복 택한 박근혜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 앞에서 박 전 대통령을 기다리 는 친박 계 인사들. 왼쪽 손 든 사람부터 시계방향으로 윤상현·민경욱·박대출·김진태·조원진 자유한국당 의원, 정광택 탄기국 공동대표, 정광용 박사모 회장, 허태열·이병기·이원종 전 청와대 비서실장. 뒷모습의 인물은 손범규 전 의원. [사진공동취재단]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 앞에서 박 전 대통령을 기다리 는 친박 계 인사들. 왼쪽 손 든 사람부터 시계방향으로 윤상현·민경욱·박대출·김진태·조원진 자유한국당 의원, 정광택 탄기국 공동대표, 정광용 박사모 회장, 허태열·이병기·이원종 전 청와대 비서실장. 뒷모습의 인물은 손범규 전 의원. [사진공동취재단]

12일 오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삼성동 사저 앞에는 친박계 핵심들이 총집결했다. 지지자들과 함께 사저로 돌아오는 박 전 대통령을 맞기 위해서다.

박근혜 메시지에 움직이는 친박계 #최순실 사태 후 다섯 달 만의 세 과시 #조기 대선에서 역할 기대하는 듯 #박, 김진태와는 가장 긴 10초 대화 #비박계 반발 탈당 이어질 수도

박 전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를 떠날 것으로 알려진 오후 6시가 넘어가자 자유한국당의 서청원·최경환·윤상현·조원진·김진태·박대출·이우현·민경욱 의원, 손범규 전 의원 등이 사저 앞으로 속속 모여들었다. 서청원 의원은 부인과 함께였다. 이들은 태극기를 든 지지자들의 환호를 받았다. 구속상태인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제외한 허태열·이병기·이원종 전 비서실장과 허원제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김관용 경북도지사, 전광삼 전 춘추관장 등도 박 전 대통령이 도착할 때까지 한 시간 넘게 사저 앞에서 대기했다.

오후 7시38분, 박 전 대통령이 검은색 에쿠스 차량에서 내린 뒤 7분간 사저 앞에 머물며 측근들과 인사를 나눴다. 박 전 대통령은 측근들에게 일일이 눈을 맞추고 악수를 했다. “힘이 돼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란 말을 건넸다고 한다. 윤상현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이 이동할 때마다 옆에 바짝 붙어 보좌했다.

관련기사

박 전 대통령은 특히 태극기집회에서 열성적으로 활동했던 김진태 의원 앞에서는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등의 말을 건네며 10초가량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의원들 중에선 가장 긴 시간이었다. 박대출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이 인사를 건네자 감정이 울컥한 듯 눈물을 훔쳤다. 의원들은 “힘내시고 건강 잘 챙기시라” “잘 모시지 못해 죄송하다”는 말을 건넸다고 한다. 박 전 대통령을 근접 경호했던 한 경호관은 측근들에게 “대통령님은 저희가 계속 잘 모시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말 최순실 국정 농단사태가 불거진 후 친박계 핵심들이 공개적으로 한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윤상현·조원진·김진태·박대출 의원 등은 태극기집회에 참석했지만 서청원·최경환 의원은 당으로부터 당원권 3년 정지 징계 결정을 받은 후엔 공개활동을 자제해 왔다.

이날 박 전 대통령이 사저 앞에서 “시간은 걸리겠지만 진실은 반드시 밝혀진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고 민경욱 의원은 전했다. 민 의원은 이어 “헌법재판소 결정에 승복하겠다고 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런 말씀은 없었다”고 답했다.

추천기사

이 때문에 앞으로 친박계가 태극기집회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 과정을 계기로 세 규합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친박계 내부에선 바른정당의 부진으로 보수의 축이 없는 상황에서 박 전 대통령을 구심점으로 한 한국당 친박계 후보가 대선에서 2위 정도로 선전할 경우 야당으로서의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대선 이후 제1야당을 염두에 두고 ‘진지전’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탄핵에 승복해야 한다는 다른 친박들과의 분화 조짐도 나타난다. 태극기집회 참석은 그동안 강성 친박 위주였다. 이날 사저 앞에도 박근혜 정부에서 장관이나 청와대 수석을 지낸 곽상도·유민봉·윤상직·정종섭 의원 등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또 일부 친박의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과해질 경우 한국당 내 비박계의 반발과 탈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유미·허진 기자 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