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보복 관세 매기면 한국이 가장 피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한국은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국가 중 하나일 것.’

WSJ “15% 부과 땐 성장률 0.5%P↓”
중국 측도 맞보복 나설 가능성 높아
“외국인 증시 이탈 안할 듯” 반론도

1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가 공약대로 중국산 수입품에 45%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한국 등이 특히 피해를 입을 것”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WSJ와 이달 발간된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 등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산에 15% 관세만 매겨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매년 1%포인트 하락한다. 이 경우 한국은 성장률이 0.5%포인트 떨어지면서 글로벌 평균 성장률(-0.23%포인트)보다 하락세가 두드러지게 된다. 45% 관세가 실현되면 피해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증시 전문가들도 대체로 국내의 트럼프 효과를 우려한다. 임동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의지에 따라 미국이 중국에 대한 보호무역주의를 관철시키면 중국 수출은 당연히 침체된다. 대 중국 수출 비중이 큰 국가의 연쇄적인 수출 위축, 중국의 미국에 대한 무역 보복으로 이어져 글로벌 교역을 동반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 중국 측은 트럼프가 고율 관세를 매기도록 용납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14일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環球時報)는 “트럼프가 45% 관세를 물리면 중국은 미국의 보잉 여객기를 에어버스(프랑스) 여객기로 바꾸게 될 것”이라며 무역 보복을 경고하고 나섰다.

한정숙 현대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강화하고 장벽을 높이면 중국에 부품, 소재를 수출하는 한국과 일본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공약 이행을 좀 더 지켜보자는 신중론도 있다. 이준재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국내 증시를 쥐락펴락하는 외국인 자금 동향에는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봤다. 이 센터장은 “(미 금리 인상 이후) 외국인 자금이 강하게 유입될 가능성은 낮지만 여전히 글로벌 자금 유동성이 충분한만큼 쉽게 빠져나갈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예측했다.

반면, 트럼프의 인프라 투자 공약은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이다. 이정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미국의 인프라투자 비중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2% 수준까지 떨어져있는 데다, 1930년대 뉴딜정책 이후 낙후시설의 대대적 교체가 없었기 때문에 트럼프 취임 초기인 2017~2018년에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재, 기계 종목들이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두산인프라코어의 경우 이날 증시에서 16.61% 급등했다.

심새롬·장원석·이창균 기자 saero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