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주택시장 '빛과 그림자'…반포와 전세 난민

중앙일보

입력

24억4100만원!

지난해 11월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148㎡(이하 공급면적)형의 분양권이 거래된 금액이다. 3.3㎡당 5423만원으로 지난해 서울 강남권에서 거래된 재건축 아파트 분양권 가운데 가장 비쌌다.

서울 주택시장의 빛과 그림자
반포 아파트 분양권 3.3㎡당 5000만원 넘어
전세난으로 서울 떠난 사람은 1997년 이후 최대

2014년 10월 분양된 뒤 13개월 새 웃돈(프리미엄)만 3억~4억원 붙었다. 이 아파트의 79㎡형 분양권도 같은 달 3.3㎡당 4796만원(11억5100만원)에 팔렸다.

27일 부동산정보업체인 부동산114가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분양권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이 업체에 따르면 지난해 강남·서초구 재건축 아파트의 평균 분양권 거래 가격은 3.3㎡당 3893만원이었다. 이들 아파트가 분양된 시점(2011년 11월~2014년 10월)의 평균 분양가(3.3㎡당 3492만원)보다 3.3㎡당 400만원가량 높다.

이웃한 강남구에선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의 분양권 가격이 가장 높았다. 청실아파트를 재건축해 짓는 이 아파트 118㎡형은 지난해 11월 15억2000만원으로, 3.3㎡당 4231만원에 거래됐다. 서초구 아크로리버파크 분양권보다는 3.3㎡당 1200만원 가까이 낮았다.

이젠 ‘반포 전성시대’다.

실제 KB국민은행에 따르면 현재 반포동 아파트 3.3㎡당 평균 시세는 4003만원으로, 강남권에서 유일하게 4000만원을 웃돈다. 강남구 압구정동(3.3㎡당 3911만원)이나 대치동(3.3㎡당 3336만원)보다 비싸다.

강남권에서 반포 일대 아파트의 분양권 거래가격이 높은 이유는 희소가치가 큰 한강변에 자리 잡아 이를 사려는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재건축 사업이 활발하고 교통·교육·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주거 여건도 뛰어나다.

이 때문에 아파트 분양권에 억대의 웃돈이 붙고 분양가도 치솟고 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팀장은 “기존 분양권 가격의 ‘고공행진’이 신규 아파트의 분양가를 밀어 올리고, 높은 분양가가 다시 기존 단지의 시세를 끌어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지난해 전세난 등으로 서울을 떠난 사람이 1997년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통계청은 전입과 전출을 합한 순전출자 기준으로 13만7256명이 서울을 떠났다고 밝혔다. 이렇게 많은 인구가 서울에서 빠져나간 건 외환위기와 1기 수도권 신도시가 팽창하던 1997년(17만8319명) 이후 18년 만에 처음이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서울에서 사람들이 많이 나간 사유는 매매·전세·월세를 포함한 주택 문제”라고 말했다. 치솟는 반포 아파트 가격과 집 때문에 서울을 떠나는 사람이 늘어난 것은 서울 주택 시장의 ‘빛과 그림자’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반포를 비롯한 강남 재건축 단지의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올해에도 강남권에 3000~4000가구의 재건축 아파트 분양이 예정된 데다 대기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양가가 뛰고 재건축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올해 대출 규제 등이 본격화하면 매수 심리 위축으로 분양권 값은 물론 재건축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해 부동산 시장에 불었던 훈풍이 식어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날 KDI가 내놓은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주택 가격 상승률은 0.9%로 3분기(1.4%)에 비해 상승폭이 줄었다.

송인호 KDI 연구위원은 “최근 공급 물량 급증 우려와 가계부채 대책 시행 예정 등으로 주택 시장의 호조세가 점차 둔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DI가 전문가 42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절반 가량인 49.8%가 ‘올해 주택 가격 상승률이 지난해에 비해 축소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황의영 기자, 세종=조현숙 기자 apex@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