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적자 낸 상장기업 사상 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제조업 충격이 가시화하고 있어서다. 그동안 성장을 이끌던 서비스업 동력도 조금 약해지는 모습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중국의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7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전달보다 0.3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2012년 8월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이를 웃돌면 경기 확장을, 밑돌면 위축을 의미한다.

 이날 함께 발표된 중국의 경제지인 차이신의 8월 제조업 PMI 확정치(47.3)도 2009년 3월 이후 6년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소 규모의 기업에 초점을 맞춘 차이신PMI, 대형 제조업체와 국유기업 중심의 국가통계국 PMI가 모두 위축되며 제조업의 위기 징후를 드러냈다.

 서비스업 경기도 전달보다 위축됐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비제조업(서비스업) PMI는 전달보다 0.5포인트 내린 53.4로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49.5%를 차지하는 서비스업은 상반기에 8.4% 성장하며 중국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의 서비스 부문이 일부 피로감을 드러내면서 제조업의 약세를 상쇄하기에 힘이 부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 실적도 악화하는 모습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올 상반기 중국 상장기업(2800개) 중 적자를 낸 기업이 전체의 16%인 440개로 역대 최대라고 보도했다. 전년 동기(362개)보다 늘었다. 상장기업의 순이익 총액(1조4175억 위안·약 260조원)은 전년 동기보다 8.6% 증가에 그쳐 3년 만에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골드먼삭스는 “중국은 경기가 회복됐다가 다시 위축되는 더블딥을 경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은 “중국이 목표치인 7%대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금융자유화와 함께 조금 더 공격적인 통화완화 정책과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의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아시아 주식 시장도 흔들렸다. 1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1.23% 하락한 3166.62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는 전날보다 1.4% 떨어진 1914.23에 장을 마쳤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전날보다 3.84% 하락했다.

◆구매관리자지수(PMI)=기업의 구매 담당자에게 신규 주문과 생산·재고·출하 등 동향에 관한 설문을 해 산출하는 경기 지표. 50을 기준으로 50 미만은 경기 수축, 50 이상은 경기 팽창을 의미한다. 한국은 PMI를 따로 산출하지 않으며 한국은행과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조사해 발표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