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평규의 중국 컨설팅] 중국의 이차전지 산업과 우리의 대응
중국은 오래전부터 이차전지의 핵심 광물은 물론 중요한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에 대한 기술을 내재화하고 원가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공급망을 장악해
-
[더 하이엔드] 엔데믹 시대, 명품은 여전히 잘 팔릴 것인가...럭셔리 시장의 미래 전망
“팬데믹 호재가 끝났다.” 실질적인 엔데믹 시대에 들어서며 소비재 업계엔 이 말과 함께 비상 알람이 켜졌다. 코로나 19로 결핍된 일상을 보상받고 싶은 마음에 발현됐던 ‘보복소비
-
커피 찌꺼기로 데크 길 만든 韓기술…사우디 녹색수출 길 '활짝'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만난 칼리드 알 팔리(Khalid Al-Falih)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 장관이 한국 기업이 개발한 커피 찌꺼기 목재 샘플을 만져보고 있다. 사진 환경부 사
-
호주 부총리 “尹, 한일 관계 개선에 용단…中에 우리 할말 할것”
리처드 말스 호주 부총리 겸 국방장관이 3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호주 부총리실 제공 한국을 방한한 호주의 리처드 말스(56) 부총리 겸 국
-
대만 회사 주식 팔아 목돈 쥔 버핏, 일본에 올인하는 까닭
━ 장기투자 귀재 ‘아이 러브 재팬’ 워런 버핏 “버핏이 이긴다.” 지난 1일 블룸버그통신이 월가 투자자 3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절반 이상이 이렇게 답했다
-
대만 회사 주식 팔아 목돈 쥔 버핏, 일본에 올인하는 까닭
━ 장기투자 귀재 ‘아이 러브 재팬’ 워런 버핏 “버핏이 이긴다.” 지난 1일 블룸버그통신이 월가 투자자 3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절반 이상이 이렇게 답했다
-
[이상렬의 세계경제전망] 미·중 패권 다툼 속 일본의 지정학적 매력 부상
━ 일본 증시 뜨거워진 이유 이상렬 논설위원 최근 세계 경제의 핫 뉴스는 일본 증시의 부활이다. 얼마 전 히로시마에서 열렸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지구촌의 스포트
-
워싱턴 정책외교 불편한 진실...'K요리·BTS 좋아한다'에 속지말라 [김영준이 소리내다]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높아진 위상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공공외교가 펼쳐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최근 한
-
[사설] 커지는 여행수지 적자…국내 여행 매력도 한층 높여야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 경상수지에 미치는 여행수지 적자 영향력 커져 ━ 코로나 특수 누렸던 업체들 가격 경쟁력 점검을 올해 1
-
수출 기상도 갈수록 ‘흐림’…산업연 “올 9% 감소, 무역적자 353억 달러”
‘수출 9.1% 감소, 무역적자 353억 달러’ 산업연구원이 새로 내놓은 올해 경제·산업 전망 중 일부다. 반도체를 비롯한 수출 부진이 깊어지고 ‘상저하고’ 기대가 흔들리면서
-
해외로 훌쩍…여행수지 적자 3년반 만에 최악
회사원인 박지예(32)씨는 지난달 친구와 함께 일본 도쿄로 이른 휴가를 다녀왔다. 3년 가까이 이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해외여행을 못 갔던 답답함을
-
미·중 극과극 취업시장…중국 대학생, 요즘 농촌으로 간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한 자동차 정비업체에 구인 현수막이 걸려 있다. 최근 미국에선 고임금의 블루칼라 일자리가 인기가 높다. [AF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청년들의 취업 사정
-
"같은 돈이면 제주보다 日"…국내선 지갑 닫고 해외서 보복소비
회사원인 박지예(32)씨는 지난달 친구와 함께 조금 이른 휴가를 일본 도쿄로 다녀왔다. 3년 가까이 이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해외여행을 못 갔던 답답
-
부인 펑리위안까지 활용한다, 시진핑의 지독한 현실주의 유료 전용
「 제1부: 시진핑의 머릿속에 무엇이 들었나 」 ━ 제5장: 시진핑 DNA 5, 신하에도 허리 굽히는 현실주의 “총명한 사람은 시대에 맞춰 변화하고(明者因時而變) 지혜
-
"올해 수출 9.1%↓, 353억 달러 적자" 더 어두워진 산업연 전망
지난 22일 수출입 화물을 실은 컨테이너선이 부산항으로 입항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출 9.1% 감소, 무역적자 353억 달러…. 산업연구원이 새로 내놓은 올해 경제·산업 전망 중
-
美청년은 대학 대신 ‘블루칼라’…中은 청년 5명 중 1명 실업
미국과 중국 청년들의 취업 사정이 엇갈리고 있다. 노동자의 급여가 높아진 미국에선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블루칼라’ 취업을 선택할 정도로 청년 고용시장이 뜨겁다. 반면 중국은 고
-
WSJ "미중 국방, 싱가포르서 안 만난다…中 회담제안 거절"
중국이 미국 정부로부터 이달 초 제안 받은 양국 국방수장 회담을 개최 며칠 앞두고 거절해 회담이 불발됐다. 29일(현지시간)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이달
-
돈 없어 빵 팔던 소년, 푸틴과 나란히…'경제 재앙' 앞둔 술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EPA=연합뉴스 28일(현지시간) 치러진 튀르키예 대선 결선투표에서 승리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69) 대통령은 흔히 ‘21세기 술
-
[중앙시평] 우주 진출에 앞서 생각해야 할 것들
안병진 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 며칠 전 퇴근길에 졸다가 깨어보니 나는 갑자기 우주 강국의 시민이 되어 있었다. 누군가 상임위에서 코인 시세 검색하고 있을 때 또 누군가는 소명의식
-
[분수대] 출산 파업과 외국인 가사근로자
조현숙 경제부 기자 한국 사람은 ‘출산 파업’ 중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아이 수를 말하는데, 남녀 20명이 다음 세대엔
-
긴축도 못 막은 ‘가계빚 1위’ 한국…기업 부채 증가 속도도 세계 4위
한국은행이 2년 가까이 통화 긴축 기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한국의 가계 빚(부채)은 여전히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많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9
-
반도체 ‘집단 대응’ 막기 총력전 나선 中… “韓, 美요구 거부해야"
중국 국수주의 매체 환구시보 영자지 글로벌타임스가 29일 미국이 한국 경제를 막다른 길로 몰아넣고 있다는 칼럼과 지난 1953년 미군 주력이 한국에서 철수하면서 기아와 오염만 남
-
美는 막고 中은 유혹…마이크론발 반도체 기싸움, 韓만 등터진다
중국 정부가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에 제재를 내린 것과 관련해 최근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과 중국 언론에 연일 오르내리고 있다. 사진은 미국 버지니아주의 마
-
빅테크 상승 맞춘 켄 피셔, 올 1분기 21만% 늘린 종목 유료 전용
지난해 10월 주가가 바닥을 찍고 기술주 위주로 상승을 시작할 것이라는 켄 피셔 피셔인베스트먼트 회장의 전망은 현재까지는 적중했습니다. 기술주 위주인 나스닥 종합지수는 올해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