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6 엣지, 최저가 78만1200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삼성전자의 갤럭시S6와 엣지(사진)가 10일 시장에 공식 출시됐다. 이동통신 3사는 이날 홈페이지에 공시지원금(보조금)을 게재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소비자들이 많이 가입하는 5만원대 요금제(2년 약정 기준)에선 지원금이 8만3000~10만8000원으로 지난해 단말기유통법 시행 이후 나온 갤럭시 노트4나 아이폰6와 비슷한 수준이다.

 갤럭시S6(이하 32GB 기준)의 최대 지원금은 KT가 21만1000원을, LG유플러스가 19만4000원으로 책정했다. 단통법상 가능한 지원금 상한선(33만원)의 3분의 2 수준이다. 대리점이 공시지원금의 15%까지 더 줄 수 있는 추가지원금까지 다 받으면 출고가 85만8000원짜리 갤럭시S6는 61만5350원에, 97만9000원짜리 엣지는 78만1200원에 살 수 있다. 다만 이는 모두 최고가 요금제에 가입할 때에 해당한다.

SK텔레콤은 2년 약정 시 실납부 금액이 7만6000원으로 KT·LG유플러스(9만9000원)보다 저렴한 편이어서 지원금이 상대적으로 적다. 저렴한 2만원대 요금제에서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은 4만~5만원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갤럭시S6를 찾는 소비자가 당분간 많을 것으로 보여 보조금이 적게 책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통 3사의 주요 대리점은 평상시보다 분주한 모습이었다. 서울 강남의 한 대리점 직원은 “사전 예약자의 개통과 구입 문의 대응을 위해 오전 8시부터 문을 열었다”고 전했다. 일부 대리점에서는 엣지 일부 모델의 개통이 지연될 것이라는 문자를 구매 희망자들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이날 함께 제품을 출시한 다른 국가도 비슷한 분위기다. 미국의 T모바일은 “갤럭시S6의 초기 개통 물량이 전작의 두 배”라고 밝혔다.

 당초 예상과 달리 국내외 선호 모델의 절반 이상이 엣지로 몰리면서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엣지는 휘어진 형태의 강화유리와 패널을 적용하는 고도의 공정을 거쳐야 해 갑자기 생산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삼성전자가 엣지의 곡면 스크린 공급 부족에 직면했다’는 기사를 통해 “부품 부족이 삼성의 성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초기 물량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많다 보니 단기간 수급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라며 “베트남 등 생산 공장의 가동률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련·손해용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