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사회학과 매일 2시간 '영어 과외' 상명대 역사콘텐츠과선 다큐·연극 수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영남대 사회학과 허창덕 교수는 2009년부터 학생들에게 ‘영어 과외’를 하고 있다. 매일 오전 7시면 강의실에 도착해 두 시간씩 가르친다. 『호밀밭의 파수꾼』 같은 소설과 타임지 등 시사지를 함께 읽고 영어로 문답한다. 허 교수는 “취업을 고민하는 학생이 많다 보니 내가 도울 수 있는 일을 찾게 됐다”고 말했다. 졸업생 류경철(29·KB국민은행 재직)씨는 “소설을 달달 외우게 하는 교수님의 혹독한 과외 덕에 토익 점수를 끌어올렸고 취직에도 성공했다”고 말했다.

 이 학과는 취업 진로에 따른 맞춤형 교육 과정도 운영 중이다. 기업, 미디어, 연구·교직, 공공영역, 시민사회 활동가 등 다섯 가지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전 교수가 한 코스씩 맡아 학생들을 지도한다. 이 덕에 비수도권 사회학과 중 취업률(65.5%, 2011년 기준)이 가장 높다.

 전공·어학에 중점을 둬 기본기를 키운 곳도 많았다. 전국 47개 철학과 중 취업률(66.7%)이 가장 높은 경성대 철학과엔 교수·학생이 함께하는 소모임이 활발하다. 교수 6명 중 4명이 인문학 책 읽기, 영어 에세이, 글쓰기, 전공학습 모임 등을 지도한다. 김재기 학과장은 “인문학적 기본기를 키워 전공과 취업,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자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는 2007년 사학과에서 이름을 바꾸면서 커리큘럼을 개편했다. 정통 역사학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배운 역사 지식을 다큐멘터리 등 영상으로 구현하거나(영상역사학의 이론과 실습), 연극 시나리오를 쓰고 연극작품을 만든다(사료의 소재 분석과 스토리텔링). 최희수 교수는 “학생들이 이벤트 기획, 방과후 프로그램 사업 등 문화콘텐트산업 전 분야로 취업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학과의 취업률(77.8%)은 서울대(80%) 다음으로 높다.

 국제화로 경쟁력을 끌어올린 곳도 많았다. 취업률 1위인 건양대 금융국제학과(80.0%)는 전공 과정에서 영어 사용 비율을 단계적으로 올린다. 배세영 교수는 “신입생은 전공 용어만 영어를 쓰는 수준이지만 4학년 강의는 교재, 수업, 질의응답 등을 100% 영어로 진행한다”고 말했다.

대학평가팀=천인성(팀장)·한은화·하선영·성시윤·윤석만·이한길 기자
자료 수집·분석=김효진·안세환 연구원 univ@joongang.co.kr

관련기사
▶ 고려대 6개 학과 최상위권…서울대 4, 경희·연세대 3개
▶ 한양대 초국가 연구 두각…성균관대 언어·뇌 융합 교육
▶ 한남대 '프로젝트 왕'교수…부경대 대마도 연구특화
▶ 138개 대학 교수·재정 등 9개 지표 평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