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북한 사설

대북 선교사 피살, 북한 테러 우려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8면

중국의 북한 접경 지역에서 북한을 상대로 선교활동을 하거나 반북(反北) 인권활동을 하던 인사가 의문의 피습을 당해 죽거나 중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와 관련, 이들 사건이 북한 공작원에 의한 테러일 가능성에 당국이 주목하는 것으로 전해져 충격적이다. 중국 동북3성 일대에서 활동 중인 선교사와 북한 인권운동가, 탈북지원 활동가 등의 안전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지난달 21일과 22일 단둥(丹東)과 옌지(延吉)에서 잇따라 발생한 피습사건은 정확한 사건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피해자들이 주사기에 찔리고 독극물에 중독된 점 등을 고려할 때 테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피해자들이 북한이 극도로 싫어하는 선교활동과 반북 인권활동을 해 왔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북한 소행일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이 같은 사건들이 정확한 사건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영구 미제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단둥에서 목숨을 잃은 선교사 G씨의 경우 병원에서 독극물에 중독됐다는 말이 나왔는데 중국 공안이 자살로 몰아간 것으로 전해진다. 또 옌지에서 피습당한 K씨는 주사기로 옆구리를 찔렸고 병원에서 독극물에 중독됐다는 말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격자가 누구인지는 오리무중이다. 1996년에도 옌지에서 박병현 기아훈련원장이 독침에 찔려 숨진 사건이 발생했지만 가해자 등은 전혀 밝혀지지 않았다.

 중국 내 북한 국경 지역에서 활동 중인 한국인 선교사들의 정확한 숫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내 선교활동 자체가 중국 법을 위반하는 행위여서 스스로 선교사임을 밝히고 입국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교계 일부와 탈북자단체, 북한 인권단체 등에서 이 지역에 상당수의 활동가들을 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번과 같은 의문의 피습사건은 언제든지 재발할 위험성이 큰 것이다. 당국은 이번 사건을 포함해 정확한 사건 원인을 가려내려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 우리 교민들의 안전이 위협받지 않도록 중국 당국에 적극적으로 협조를 요청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