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활동에도 바쁘다 … 기업 사외이사 22%가 교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시민단체 활동을 하는 C대표는 정부 부처 위원회에 참석할 때마다 교수 위원들과 마주친다. 그는 “어느 위원회든 절반은 교수가 위원으로 있는 것 같다”며 “어떤 문제를 놓고 발제를 할 때도 교수, 토론도 교수가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정부 부처의 각종 위원회 위원들은 교수 일색이다. 교육과학기술부 내 부실 대학을 판별하는 위원회에도 교수 출신이 4분의 1을 차지한다. 대학에 재정을 지원하는 위원회도 교수 위원들이 심사를 한다. 그렇다 보니 어느 대학 출신의 교수가 위원회에 들어가는지를 놓고 대학 간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국내 교수들의 대외 활동은 단순히 위원회 참여에 그치지 않는다. 국무회의 위원 16명 중 4명이 교수에서 입각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2004년부터 7년째 공직을 맡는 바람에 7년째 휴직 중이다. 이주호(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현인택(고려대 정외과 교수) 통일부 장관, 백희영(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여성가족부 장관 등이다. 국무위원 중 교수 비율은 한국(25%)이 일본(5.6%)·영국(5.3%)보다 높다.

 기업 사외이사의 직업별 분포에서도 교수가 기업인(34.3%)에 이어 2위(22.4%)에 올랐다. 대학별로는 서울대 교수가 113명으로 가장 많다. 한국상장사협회가 운영하는 사외이사 인력 뱅크에 자신의 이름을 후보자로 올려 기업이 뽑아달라고 하는 교수가 600명이 넘을 정도다.

 교수들의 대외 활동 참여는 전문성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하지만 당장 등록금을 내고 다니는 학생들은 대외활동을 위해 장기 휴직 중인 교수가 반갑지 않다. 가장 큰 타격을 받는 학생은 장기 휴직 교수가 지도하는 학생들이다. 논문 심사를 받지 못해 지도 교수를 바꾸는 일도 벌어진다.

특별취재팀=강홍준(팀장)·김성탁·박수련·윤석만·강신후·김민상 기자, 정경민(뉴욕)·박소영(도쿄)·김정욱(워싱턴)·장세정(베이징)·이상언(파리)·정용환(홍콩) 특파원

중앙일보가 독자와 함께 등록금 낮추기 운동을 벌입니다

고액의 대학 등록금 내릴 수 있습니다. 대학의 자구 노력이 우선돼야 합니다. 정부 재정 지원은 그 다음입니다. 그래야 국민 세금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등록금 인하가 가능합니다. 교수·학생·학부모가 모두 머리를 맞대야 합니다. 대학의 불투명한 회계와 낭비 요소의 현장을 신고해주십시오. 중앙일보가 취재해 드리겠습니다. e-메일(school@joongang.co.kr)과 트위터(http://twitter.com/tuitionreduce) 계정을 열었습니다. 전화는 02-751-5442, 5446.


▶중앙일보가 독자와 함께 등록금 낮추기 운동을 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