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여름에도 완벽한 미인 되기 땀 관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여름이 성큼 다가왔다. 이때가 되면 여자들은 바빠진다. ‘더운 여름에도 완벽한 미인’이 되기 위해서다. 중앙일보 MY LIFE는 여름 미인 되기에 필요한 땀 대처법, 여름 메이크업 노하우, 毛(제모와 모발) 관리, 노출부위 집중 운동법, 자외선 차단제 사용법을 소개한다. 그 중 첫 번째 주제는 ‘땀’이다. 화장을 엉망으로 만드는 얼굴 땀, 사람을 위축시키는 겨드랑이 땀, 발 냄새를 유발하는 발바닥 땀 등은 여름 미인이 되는 데 큰 걸림돌이다. 땀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

허약하면 땀 많이 난다?

땀을 많이 흘리면 혹시 몸이 허약하거나 질병이 있는 것이 아닌가 걱정하게 된다. 식사나 운동을 하면 질병이 없어도 체내 온도가 높아져 땀이난다. 질병으로 인해 열 생산이 많아져 땀이 많이 나거나 땀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다한증이 아니라면 인체에 해롭거나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다만 사우나에서 너무 많은 땀을 흘리면 몸 안의 수분과 전해질에 불균형을 가져 올 수 있다. 이럴 땐 이온음료 등으로 수분 섭취를 늘려주면된다. 수건을 목에 두르고 음식을 먹을 정도로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도 있다. 매운 음식,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더 나게 된다. 신진대사가 느리고 추위를 많이 타는 냉습한 체질의 사람은 음식을 먹고 땀을 살짝 흘리면 스트레스가 풀리고 몸이 개운해진다. 그러나 위(胃)나 체내에 열이 많고 식사할 때 땀이 많은 사람이라면 이런 음식은 피하는 것이 낫다.
 
땀 나는 부위, 사람 따라 다르다?

얼굴·겨드랑이·손발바닥·가슴·사타구니 등은 땀이 유난히 많은 부위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쓰면 더 심해진다. 동의보감에서는 두한(頭汗), 심한(心汗), 수족한(手足汗), 음한(陰汗)이라 해 부위별로 나는 땀의 원인을 몸 상태, 증상을 모두 살펴 판단한다. 두한은 양기가 허하고 위장에 열이 많아 난다. 활동성을 뜻하는 양기가 허하면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고 소화기능과 체력이 떨어진다. 심한은 명치와 겨드랑이 주변에 나는 땀이다. 생각이나 고민이 많을 때 난다. 성격이 다혈질이고 쉽게 흥분하는 사람들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손과 발의 땀인 수족한은 위에 열이 몰리는 것으로 소화기능 장애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음한은 사타구니 땀이다. 남자에게 많으며 양기나 콩팥이 허할 때 난다.
 


운동 후 상기된 얼굴, 피부의 적?

운동 후 흘리는 땀은 피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노폐물을 배출하고 각질 제거와 세포 재생도 촉진한다. 그러나 땀을 흘린 직후 열이 오른 상태에서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기미·잡티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피부가 붉게 올라오는 피부발적이나 건조함, 따가움이 오래갈 수도 있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를 수시로 발라주고, 집에서 감자나 오이 등으로 붉어진 얼굴을 빨리 진정시켜주는 것이 좋다. 화농성 여드름 피부는 땀 성분이 모공을 자극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심한 야외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땀이 나면 수시로 살짝 눌러주듯 수건으로 닦아내 피부자극을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이럴 땐 실외보다 실내 운동이 나으며 운동 직후 세안으로 땀을 바로 씻을 수 있는 환경을 권한다.
 
땀 흘릴 때 화장,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땀은 생활습관과도 관련 있다. 과로나 스트레스 같은 정서적인 문제는 물론이고 과음이나 과식, 매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사우나 등에서 땀을 과도하게 흘리는 것은 피부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 여름에 화장을 할 때 펄이 들어간 제품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펄이 모공을 막아 피부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다. 파운데이션도 땀과 피지와 뭉쳐 모공을 막기 쉬우므로 사용을 최소화 한다. 옷은 흡수가 잘 되는 면제품을 착용하고 땀을 흘린 후에는 가급적 빨리 닦거나 샤워를 한다. 땀 중에서도 곤혹스러운 게 겨드랑이 땀이다. 냄새까지 나기 때문이다. 육류·계란·우유·버터·치즈 등은 겨드랑이 땀에 악취를 더할 수 있다.

[사진설명] 기온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땀으로 곤혹스러워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땀은 화장을 얼룩지게 하고 스타일을 구겨 여름 미인이 되는 데 큰 걸림돌이다.

<이세라 기자 slwitch@joongang.co.kr 사진="황정옥" 기자
도움말=쉬즈한의원 문하경 원장, 한림대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조정진 교수, CNP차앤박 피부과 양재본원 권현조 원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