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역주의] 1. 영.호남갈등 줄고 강원.충청 소외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영삼 (金泳三) 전 대통령이 정치재개를 선언하고 내각제 문제와 관련해 자민련 충청권 의원들이 새로운 세력화를 꾀하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감정을 이용한 구시대 정치가 부활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이다.

시대 역행적 지역감정.대결이 도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 문제는 결단코 극복돼야 한다.

중앙일보는 그 해결의 단초를 제공하기 위한 시리즈를 마련했다. 중앙일보 밀레니엄 기획팀과 여론조사팀은 지역 문제의 정확한 실상 파악을 위해 지난 3월부터 7월 초까지 일곱차례에 걸쳐 전국 성인 남녀 4천3백98명을 상대로 광범위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영호남간 지역갈등 양상은 상대적으로 완화됐지만 강원.충청지역의 소외감이 깊어지는 새로운 지역주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영호남 갈등' '호남의 소외' 로 특징지어져 온 기존의 지역 갈등 양상은 정권교체 이후 누그러들었다.

그러나 지역주의 경향이 비교적 낮았던 강원.충청지역이 정치.경제적 면에서 모두 강한 소외감을 드러내고 있다. 결국 소외감의 주체가 바뀌고 그 양상이 다원화되는 등 척결돼야 할 지역주의는 끈질기게 살아 있는 것이다.

'지역갈등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라는 질문에 강원지역 출신 응답자들이 가장 심각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어 충청.경기지역 출신들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과거 지역 문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던 호남 출신들은 심각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다.

'심각하지 않다' 는 긍정적 응답도 영호남 출신들 사이에서 높게 나왔다. '심각하다' 는 응답의 전국 평균은 68.3%.이는 지난 88년 10월 한국사회학회가 조사한 당시 평균 응답 76.6%보다 8.3% 낮은 것이다.

'우리 지역은 정치적으로 소외돼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 이라는 질문에 강원지역 주민들의 67.9%가 '그렇다' 고 응답,가장 강한 정치적 소외감을 보였다.

경제적 소외감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강원지역의 절대 다수인 85.6%가 소외감을 토로했다.

다음은 호남과 충청. 정치적인 소외감과 비슷한 양상이지만 부정적 인식의 정도는 경제적 소외감이 훨씬 강했다.

'타지역보다 불리한 대우를 받고 있는 지역' 을 묻는 질문에 다른 지역에선 '호남' 을 꼽았지만 강원.충청지역만은 자신들이 가장 불리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응답했다.

김창호.김행.오병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