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반응] 여야 '파업그만' 한목소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치권에도 노동계 파업의 여파가 덮쳤다.

사태가 확산될 경우 경제회생과 사회안정에 결정적 타격을 가할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여야 인식이 일치했다.

그러나 구체적 대응에서는 차이가 났다.

여권은 불법 파업에는 단호히 대처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정부 비판에도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

◇ 여권 = 일요일인 25일 오전 국민회의 당사에서 열린 긴급 당정회의에서는 이번 사태의 원인과 파장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2시간여 동안 이뤄졌다.

이기호 (李起浩) 노동부장관은 "노동계가 지하철 파업을 기폭제로 26일 한국통신 파업, 27일 금속노조연맹 파업, 5월 1일 노동절 총파업 등 4월 말과 5월을 파업의 계절로 휩쓸어 갈 경우 사회불안과 경제위기가 도래하게 될 것" 이라고 지적했다.

李장관은 "과거 지하철 파업은 길어도 6일 정도 지나면 해소됐고 90% 이상이 복귀했지만 이번에는 양상이 전혀 다르다" 고 설명했다.

당정은 사태가 악화되는 원인을 민주노총 지도부의 조직적 개입에서 찾았다.

5월 1일 총파업을 앞두고 한총련이 지역별로 사수대를 모집하는 등 노.학 (勞.學) 연대투쟁 양상을 보이고 있는 데 대한 우려도 나왔다.

정부측 참석자 쪽에서는 "분위기로 볼 때 공권력 투입이 불가피한 것 같다" "언제라도 투입할 준비가 돼 있다" 는 발언도 나왔다.

◇ 한나라당 = 노동계 파업 확산이 "경제와 시민생활에 큰 불안과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李會昌 총재) 는 데 여권과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李총재는 "파업 확산은 사회불안은 물론 생산성 감소.국제경쟁력 약화.수출 둔화.대외신인도 하락.외국인 투자 격감 등을 가져올 것으로 우려된다" 고 말했다.

때문에 하루빨리 파업을 중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25일 오전에는 긴급 당직자회의가 열렸다.

이부영 (李富榮) 총무와 김문수 (金文洙) 정책위 노동위원장 등 노동계와 친분이 있는 당직자를 서울지하철노조 농성장인 명동성당으로 급파해 파업 중단을 설득하고 중재 노력도 벌였다.

그러나 파업사태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부측에 화살을 돌렸다.

노조가 법정 조정기간을 지키지 않았다는 단서는 달면서도 서울지하철공사의 단체협약 위반.노사협상 불성실 등이 파업으로 몰아갔다는 노조측 주장에 무게를 실었다.

공권력 투입 등 '초강수' 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하경.유광종.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