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₂ 줄이고 에너지 다이어트 … 건설도 녹색바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8면

‘녹색성장’이 미래 경제 성장의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세계 각국마다 녹색성장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육성에 심혈을 기울인다. 경기 부양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사회간접자본(SOC)사업에도 녹색산업과 연계성을 강화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건설산업에도 녹색바람이 불고 있다. 단순히 경제적·효율적으로만 건물을 짓는 것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돼 환경을 고려한 건설이 한창이다. 건설업체들은 에너지 소비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친환경 자재와 첨단장비 개발·시공을 선보이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고층 빌딩도 그린빌딩으로 진화 중이다. 국내에선 지난 5월 서울 역삼동에 있는 ING타워가 건물 개조를 통해 친환경 빌딩으로 변신했다. 송도국제신도시는 기존 도시보다 탄소를 30% 적게 방출하는 도시로 설계된다.

녹색건설을 위한 정부의 지원도 적극적이다. 국토해양부는 에너지 절약 설계를 유도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에너지 소비 총량제를 시범 도입했다.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을 받은 건축물에 대해 용적률·높이 제한 등 인센티브 제공을 추진하고 있는 것.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주관하고 에너지기술연구원과 대한주택공사 교육환경연구원 등이 심사하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GBCS)도 운용되고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래미안퍼스티지·인천 청라지구 아파트 등이 친환경 인증을 받은 단지다.

정부는 친환경 사업으로 4대 강 살리기 사업에 총 22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10여 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추가 건설키로 하는 등 대대적인 녹색산업 투자계획을 수립했다. 건설업계는 “녹색건설 유도를 위한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 지원이 필요하고 기업도 녹색기술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