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우선 수습·복구에 총력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리산 일대를 강타한 비구름대가 북상하면서 수도권에 엄청난 재난을 몰고 왔다.

기록적인 강수량을 보이면서 곳곳에서 주민들이 떼죽음을 당하고 집과 농경지에 도로.철도.통신시설 등 생활기반시설까지 큰 피해를 내 경제 전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예상된다.

게다가 문제의 비구름대는 우리나라를 완전히 떠나지 않아 재난은 현재진행형이다.

1년 내내 내리는 강수량의 절반이 하룻밤새 내렸다면 사람으로서는 대처하기에 역부족이었다 할 수 있으나 그렇다고 하늘을 탓하고 있을 수만도 없다.

더 이상의 피해는 최소화하고 재난현장에서 발생하는 '추가재해' 도 예방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총력을 기울여야 할 부분은 수습과 복구다.

이를 위해 모두의 지혜를 모으는 지극한 정성과 노력이 절실한, 지금은 바로 그런 때다.

우선 손써야 될 부분이 수해지역의 구호와 보건문제다.

특히 수해뒤의 이재민들을 위협하는 수인성 전염병 예방은 무엇보다 시급하다.

이와 함께 찢겨져나간 생활터전을 다시 일으키는 것 또한 소홀히 할 수 없다.

통신.도로.철도 등의 복구는 응급복구와 완전복구의 두단계로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

땜질식 복구만으로 손을 털 경우 훗날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사태를 우리는 여러차례 보아왔다.

빗물이 빠지면 볏잎의 흙을 씻어주는 식의 농작물관리를 통해 감수에도 대비해야 하고, 당국은 피해지역 주민들에게 세제.금융지원을 해줌으로써 부담을 덜어주는 데도 인색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일부 군부대에서 유실된 것으로 전해지는 지뢰 등의 제거같은 추가재난 예방에도 빈틈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신속하고 기민한 구호조치로 수재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여름에 일어난 수해의 지원비를 겨울인 연말에야 손에 쥐게 되는 식의 늑장행정이 이번에는 없어야 한다.

이번 재난이 불가항력적인 것이었다 해도 사람의 힘으로 예방하거나 피해를 더 줄일 수 있었던 대목은 없었는지도 겸허한 자세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경기북부지방의 물난리는 96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천범람이 주된 원인이었다.

최대강수량에 대비해 둑 높이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가 있어야 겠다.

서울 등 도시지역에서는 하수도 역류로 대표되는 배수시설에 문제가 있었다.

5월초 중랑천 범람사고로 운행이 중단됐던 서울지하철 7호선은 이번에도 늑장대처로 또 침수 - 운행중단의 악순환이 이어졌다.

수해때 쓰자고 만들어둔 제반 시설이 제때 가동되지 못하기도 했다.

일기예보장비 보강은 누차 지적했으나 소식이 없고, 장마철에 일기예보나 교통통제 뉴스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시민들의 안전불감증도 문제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