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습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0면

㉮-“산이영 바다이영 몬딱 좋은 게 마씀.” “비바리도 있고 넹바리도 있수다.”

㉯-“내가 몽땅 수구 하겠수다.” “먹었소다. 힘껏 해 보겠소다.”

㉮㉯는 우리나라 남(제주도)·북(함경도) 강토에서 각각 쓰이고 있는 말이다. ‘현재의 동작이나 상태를 강조해 표현할 때 흔히 쓰는 종결어미 ‘-습니다’가 너와 나의 거리가 멀수록, 그 모양새가 크게 다르다는 사실이 묘하다. ㉮㉯를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표준어 정의)로 재구성해 보았다.

㉮-“산이랑 바다랑 모두가 좋습니다.” “처녀도 있고, 시집간 여자도 있습니다.”

㉯-“제가 전부 수고하겠습니다.” “먹었습니다. 힘껏 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했습니다·있음’을 일부에서 ‘했읍니다·있슴’으로 잘못 알고 있다. 1988년 한글맞춤법 개정 때 ‘-읍니다’를 ‘-습니다’로 적기로 했다. 언중의 실제 발음을 연구 검토한 결과다. 덧붙여 ‘-했다·-있다’ 등에 명사형어미(-음)를 붙여 활용할 땐 ‘-음’을 그대로 살려 쓴다(했음·있음).  

김준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