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0인회 부산 총회] 아시아통화기금 출범 앞당겨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국·중국·일본의 각계 저명인사로 구성된 ‘한·중·일 30인회’가 13일 아시아통화기금(AMF)과 같은 역내 통화기구 설립을 위한 사무국 신설 등을 3국 정부에 권고했다. 30인회는 또 “3국의 환경·에너지 관련 이슈를 발굴하고, 각종 관련 프로젝트를 처리할 ‘동북아 녹색성장 전략기구’를 설립하라”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정부 제안서를 채택했다.

중앙일보·중국 신화사·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공동 주최로 이날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30인회 4차 회의는 ‘글로벌 위기 극복을 위한 동북아 3국의 지역협력 모색’을 주제로 뜨거운 토론을 벌였다. 제5차 회의는 1년 후 일본에서 열린다.  회의는 “세계 경제위기로 동북아 역내 금융인력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금융분야 교육과 연구를 담당할 리서치센터 설립을 제안했다. 또 기금 분담 비율 문제로 이견을 보이고 있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와 관련해 “3국 정부가 조속히 정치적으로 타결해 AMF 출범을 앞당기라”고 촉구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동북아 3국 간 교류·협력 증진을 통해 미국 시장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했다. 판강(樊綱) 중국 국민경제연구소 소장은 “한·중·일 각국이 힘을 모아 동북아 역내 내수시장을 육성함으로써 세계 경제위기 극복의 이니셔티브(주도권)를 쥐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보유 통화의 다원화 차원에서 3국의 외환보유액 중 일정 부분을 역내 통화로 쌓아 두자는 ‘교차 통화보유 체제(Cross holding reserve currency mechanism)’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또 ‘보호무역주의 반대’에 한목소리를 냈다.

사카키바라 에이스케 와세다대 교수는 “어떤 분야, 어떤 형태의 보호무역주의도 반대한다”며 “특정 국가의 민족주의가 자유로운 교역을 막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아시아 역내 협력은 국제 경제시스템과 보조를 맞춰 가며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사공일 한국무역협회장은 “아시아의 금융 협력은 국제통화기금(IMF)과의 보완성을 강조함으로써 미국과의 불필요한 갈등을 막아야 한다”며 “글로벌 차원의 공조 없이는 동북아 역내 협력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취재팀=유상철·한우덕(중앙일보중국연구소 기자)·김현기(도쿄특파원)·최지영·이승녕(경제부문 기자)·정용환(국제부문 기자)·김상진(사회부문 기자)·송봉근(영상부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