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첫 건설연구시설 ‘반쪽 완공’ 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국토해양부가 2004년부터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게 ‘분산공유형 건설연구인프라 구축 사업(KOCED)’이다. 내년 4월 완공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반쪽 완공’이 될까 봐 사업 추진 전담자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지방 여섯 곳에 흩어져 있는 연구센터를 묶어 대형 사이버 연구센터화하기 위한 ‘본부’ 운영비를 나 몰라라 하기 때문이다.

전남대 연구센터에 건설된 쓰나미 시험동. 인공 쓰나미를 일으켜 건축물의 안전도 등을 실험한다. [전남대 제공]

사업단장인 김 교수는 “내년도 정부 예산이 모두 마무리된 상태인데도 아직 운영비를 줘야 할 국토해양부에서는 감감 무소식”이라고 걱정했다. 연구센터에서 돈을 벌어 자립하라는 것이다.

6개 연구센터 건설과 사이버 공유 시설 구축에 들어간 예산은 약 600억원. 본부에서 사이버 연구시설을 운영하는 데는 연간 약 16억여원이 들 것으로 김 교수는 추정했다.

KOCED 사업은 서울 명지대학, 대전 KAIST, 대구 계명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6 곳에 내년 4월 완공 목표로 건설 중이다. 지진 실험에서부터 쓰나미, 구조물 안전성 등에 이르기까지 건설 기술과 교육 수준을 한 차원 끌어 올린다는 게 기본 취지다. 즉, 지방에 분산돼 있는 연구센터(오프라인)를 온라인으로 통합해 연구와 교육을 함께 해보자는 것이다. 이런 시스템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과학계에서 큰 관심을 끌어왔다.

그러나 운영비를 지원하지 않으면 연구센터 운영의 두 축 중에서 온라인 쪽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연구 시설은 최첨단으로 꾸며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시작도 해보기 전에 삐걱대고 있는 것이다.

연구센터를 사이버로 통합하지 않으면 연구 데이터를 공유하지 못할 뿐 아니라 연구와 교육이 함께 이뤄지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