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산마을><산사람>너와집서 50년 삶 김주기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3면

법수치리에 사는 김주기(61.사진)씨는 50여년간을 너와집에서 살았다.
그는 너와집에서 태어나 10여년전 법수치리에 너와집이 완전히없어질 때까지 줄곧 그곳에서 생활했다.
평야지대에선 볏짚으로 지붕을 이었듯이 화전민들은 산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껍질과 나무판자로 지붕을 이은 너와집을 지었다.너와집에서 50여년을 살았다는 사실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그의 삶은 보통사람들과 판이했다.
金씨는 마을에서 유일하게 창으로 곰을 잡은 사람이다.40년전미천골에서다.1쯤 눈이 왔을 때 6명이 같이 가서 잡았다.
『선창꾼에겐 뱃살을 주고 후창꾼에겐 뒷다리를 주었어.웅담? 웅담은 나눠 가졌지.』 귀하다는 송이를 장아찌로 만들어 먹고 술을 담가 먹을 수 있었던 것도 산간오지에서 산 덕분이었다.
그러나 산골생활은 좋은 일보다 불편한 것이 더 많다.논농사는하지 않아 쌀밥은 별로 먹어보지 못했다고 한다.힘들게 수확한 잡곡을 소금과 바꾸기 위해 주문진장에 가는데 2박3일은 꼬박 잡아야 했다.
어성전에서 망재를 넘어 상월천에서 하룻밤을 묵은 뒤 장을 본다.돌아올 땐 역순으로 하룻밤을 더 자고서야 집에 돌아올 수 있었다. 그는 지난해 장뇌를 근처 산에 심었다.장뇌는 15년은지나야 약효가 제대로 나온다.
『살아선 장뇌 덕을 못 볼지도 모르겠어.하지만 어때.자식이나손자가 수확할 수 있으면 되지.』 풍족하진 않지만 느긋해질 수있다는 것.그것은 산골생활이 주는 또 하나의 혜택이다.
하지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