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개혁의 첫 關門,생활기록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번 교육개혁안중에서 「종합생활기록부」가 단연 학부모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교육의 기본틀이 어떻게 바뀌고,미래의교육환경이 어떠해야 할지는 두고 볼 일이고,당장 대학입시를 앞둔 자녀들의 진학은 어떻게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게 현실이다.교육의 큰 틀보다는 당장의 입시가 문제되는게 우리네 교육현실이다.때문에 교육개혁의 성패를 가름하는 1차 관문(關門)이 생활기록부다.객관성.공정성 확보를 위한 후속조처 없이는 개혁 자체에 큰 손상을 줄 수 있다.
개혁안에 따르면 교과성적.특별활동.봉사활동.자격증취득.각종 대회참가 입상실적.출-결상황등을 종합기록해서 성취기준 평가제를적용하는 방식이 생활기록부다.내년부터 과도적으로 적용해 99학년부터는 중학에서 대학까지의 진학을 좌우하는 결 정적 자료가 된다. 학부모만의 관심이 아니라 적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중등교육의 개혁을 위해서도 이 제도의 성공적 정착은 필수적이다.이처럼 중요한 개혁의 핵심인데도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어떤 후속조항이 아직은 보이지 않는다.교육과정평가원이 신설되어평가기준을 만들겠다는게 지금까지 나온 대안의 전부다.관심의 초점인 이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선 우선 교사의 권위와신뢰가 전제돼야 한다.교사의 권위와 신뢰가 없다면 돈봉투와 치맛바람이 난무할 수밖에 없다는게 지금까 지의 경험이 입증한다.
교사의 권위와 신뢰를 살릴 자정(自淨)노력이 학교 내부에서 일어나야 한다.또 학교간 차별을 둔 상대평가 아닌 종래의 내신제와 같은 절대평가여선 공정한 학력평가가 될 수 없다는 지적이 계속 나올 것이다.끝으로 이 자료를 이용할 대학과의 연계적 협의 없는 기록부작성은 실질적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비판이 예상된다. 따라서 교육개혁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생활기록부제에공정성과 객관성을 부여하는 치밀한 작업이 지금부터라도 진행돼야한다.교육부.중등학교.대학의 실무진이 함께 모여 1차안을 만들고,이를 공청회에 부쳐 다듬고 손질하는 여러 절차를 거쳐 합의점을 찾도록 해야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